너릿재 발굴에는 이틀 필요할 듯…5월 단체·광주시 협의 예정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주둔했던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추가 의심지역 발굴이 이틀째 이어졌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9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교도소 남측 담장 주변 소나무숲에서 5·18 행방불명자 유해 수습을 위한 추가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5·18 암매장 추가 의심지역 발굴 이틀째…"흔적 아직 못 찾아"
재단과 5월 단체는 땅속탐사레이더(GPR) 조사로 전자파 이상 신호가 감지된 소나무숲을 새로운 암매장 의심지로 지목하고 전날 발굴에 들어갔다.

해당 장소는 1980년 5월 30일 임시 매장된 5·18 희생자 시신을 수습한 교도소장 관사와 지척이다.

발굴조사는 지표면에서부터 손으로 흙을 걷어내는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진행 중인데 암매장 흔적은 아직 찾지 못했다.

5·18단체는 GPR 조사 결과에서 소나무숲과 비슷한 반응이 나타난 북측 담장 주변 2곳에 대해서도 전날 추가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교도소 생활쓰레기 등 과거 굴착 이력만 확인하고 작업을 멈췄다.

재단과 5월 단체는 GPR 기기가 미확인 물질을 탐지한 전남 화순 너릿재 일원에서도 발굴조사를 착수할 계획이다.

GPR 조사에서 이상 징후가 나타난 너릿재 구간은 1971년 개통한 너릿재터널 광주 방향 출구 근처로 5·18 이후 왕복 2차로가 4차로로 확장하면서 현재 도로가 조성돼있다.

5·18단체는 길이 약 10m, 깊이 1m가량 도로 굴착이 필요하며 이틀 정도 차량통행 통제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단체는 도로를 막고 발굴조사 착수를 위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만큼 광주시와 협의할 계획이다.

5·18 당시 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출신 퇴역군인이 최근 재단에 제보한 암매장 의심지도 추가로 발굴한다.

호남고속도로와 인접한 서측 담장 주변, 남서쪽·북서쪽 등 감시탑 2곳 일원, 북측 담장에서 20∼30m 떨어진 항쟁 당시 야산 지형물 등 제보자들이 지목한 곳에 다음 주 GPR 기기를 투입할 예정이다.
5·18 암매장 추가 의심지역 발굴 이틀째…"흔적 아직 못 찾아"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마련할 것"이라며 "은밀하게 이뤄진 암매장 진실을 밝히기 위해 관련자들 추가 증언도 확보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재단과 5월 단체는 3공수 본부대대 지휘관이 1995년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를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군 기록에 따르면 민간인 27∼28명이 5·18 당시 옛 교도소 일대에서 숨졌으며, 항쟁이 끝나고 임시매장된 형태로 찾은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