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야권 재편 임박… 정계개편 '신호탄'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당·바른정당 통합파 재결합 '카운트다운'…내주 결행할 듯
국민의당·바른정당 자강파 통합 논의는 중단…선거·정책연대 가능성
보수 야권 진영의 재편이 '카운트 다운'에 들어갔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오는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제명안을 처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이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특히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탈당하는 경우 당에 잔류한 자강파 의원들이 국민의당과 정책·선거연대를 이룰 가능성도 적지 않아 야권발 정계개편이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여기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야권재편 움직임에 맞서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있다. 야권재편의 시작은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이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특히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한국당으로 건너올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기 위해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전 대통령 제명안을 처리하기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 제명이 마무리되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5일 의원총회에서 전당대회 연기론을 놓고 자강파 의원들과 막판 조율을 시도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전당대회 연기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 결국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은 예정된 수순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탈당 시점은 6일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자강파로 분류되는 바른정당 소속의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5일 의총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통합파 의원들은) 나간다"라고 말했다.
또 탈당 규모는 8명 안팎이고, 한국당 합류 시점은 다음 주 중·후반 정도가 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들 의원이 한국당에 합류하게 되면 한국당 의석수는 115석 안팎으로 늘어난다.
여전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121석)의 의석수가 더 많아 원내 제1당의 위치에 오르지는 못하지만, 한국당은 향후 법안처리 등 국회운영 과정에서 전보다 효율적으로 정부·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정계개편이 단순히 바른정당이 쪼개지는 선에서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각 정당이 국회 운영과정에서 발언권을 높이기 위해 연대를 하거나 몸집을 키우는 등의 '합종연횡'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바른정당 잔류파와 국민의당의 협력 모델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다.
실제로 과거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측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하면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도통합론'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었던 바가 있다.
물론 현재는 당내 호남계 중진 의원들의 강력한 반발로 통합 논의가 중단된 상태지만, 정책연대 또는 선거연대는 여전히 상당히 유효한 카드 가운데 하나다.
박지원 전 대표는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바른정당과) 정책·선거연대는 가능하다고 본다"며 "법안 등에 있어서 정책연합은 지금도 자동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과거 통합에 강력하게 반발했던 당내 대표적인 호남 인사다.
바른정당 입장에서도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으로 교섭단체의 지위를 상실하는 경우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마다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의 한 자강파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국당보다는 국민의당과 협력하기가 더 쉽다고 생각한다"며 "전략적으로 양 당이 손을 잡고 향후 국정운영에 캐스팅 보트를 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와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3일 오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여당이 방송법 개정안에 협조하지 않으면 나머지 법안에도 협조할 수 없다고 밝힐 계획이다.
사실상의 정책연대인 셈이다.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양측이 본격적으로 선거연대를 추진할 수 있다.
다만 두 당의 지역적·이념적 기반이 판이해 긴밀한 연대가 가능하겠느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야권의 '짝짓기'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민주당이 같은 뿌리를 두고 있는 국민의당과 각종 정책을 놓고 연대를 하려 할 수 있다.
그러나 안철수 대표가 문 대통령과 각을 세우고 있고, 지방선거 때는 호남 표심을 놓고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양당 간 연대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바른정당 자강파 통합 논의는 중단…선거·정책연대 가능성
보수 야권 진영의 재편이 '카운트 다운'에 들어갔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오는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제명안을 처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이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특히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탈당하는 경우 당에 잔류한 자강파 의원들이 국민의당과 정책·선거연대를 이룰 가능성도 적지 않아 야권발 정계개편이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여기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야권재편 움직임에 맞서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있다. 야권재편의 시작은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이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특히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한국당으로 건너올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기 위해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전 대통령 제명안을 처리하기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 제명이 마무리되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5일 의원총회에서 전당대회 연기론을 놓고 자강파 의원들과 막판 조율을 시도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전당대회 연기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 결국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은 예정된 수순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탈당 시점은 6일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자강파로 분류되는 바른정당 소속의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5일 의총에서 결론이 나지 않으면 통합파 의원들은) 나간다"라고 말했다.
또 탈당 규모는 8명 안팎이고, 한국당 합류 시점은 다음 주 중·후반 정도가 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들 의원이 한국당에 합류하게 되면 한국당 의석수는 115석 안팎으로 늘어난다.
여전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121석)의 의석수가 더 많아 원내 제1당의 위치에 오르지는 못하지만, 한국당은 향후 법안처리 등 국회운영 과정에서 전보다 효율적으로 정부·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정계개편이 단순히 바른정당이 쪼개지는 선에서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각 정당이 국회 운영과정에서 발언권을 높이기 위해 연대를 하거나 몸집을 키우는 등의 '합종연횡'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바른정당 잔류파와 국민의당의 협력 모델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다.
실제로 과거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측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하면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도통합론'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었던 바가 있다.
물론 현재는 당내 호남계 중진 의원들의 강력한 반발로 통합 논의가 중단된 상태지만, 정책연대 또는 선거연대는 여전히 상당히 유효한 카드 가운데 하나다.
박지원 전 대표는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바른정당과) 정책·선거연대는 가능하다고 본다"며 "법안 등에 있어서 정책연합은 지금도 자동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과거 통합에 강력하게 반발했던 당내 대표적인 호남 인사다.
바른정당 입장에서도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으로 교섭단체의 지위를 상실하는 경우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마다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의 한 자강파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국당보다는 국민의당과 협력하기가 더 쉽다고 생각한다"며 "전략적으로 양 당이 손을 잡고 향후 국정운영에 캐스팅 보트를 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와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3일 오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여당이 방송법 개정안에 협조하지 않으면 나머지 법안에도 협조할 수 없다고 밝힐 계획이다.
사실상의 정책연대인 셈이다.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양측이 본격적으로 선거연대를 추진할 수 있다.
다만 두 당의 지역적·이념적 기반이 판이해 긴밀한 연대가 가능하겠느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야권의 '짝짓기'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민주당이 같은 뿌리를 두고 있는 국민의당과 각종 정책을 놓고 연대를 하려 할 수 있다.
그러나 안철수 대표가 문 대통령과 각을 세우고 있고, 지방선거 때는 호남 표심을 놓고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양당 간 연대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