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과 언어 넘어선 '인간성' 탐구…이시구로의 문학세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좋은 소설이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세계 전역의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비전이 담긴, 그렇지만 상당히 단순한 소설이라고 나는 믿는다. 대륙을 넘나들지만 세계의 어느 후미진 구석에서도 단단히 뿌리 내릴 수 있는 인물들을 품고 있는 그런 소설 말이다."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일본계 영국 작가 가즈오 이시구로(63)의 말이다.
이시구로는 잊혀지고 왜곡된 기억을 복원해 보편적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작가다.
실제 벌어진 사건들을 종종 등장시키지만, 역사에 직접적 개입을 자제한 채 철저히 인간성 자체에 초점을 둔다.
SF소설의 형식을 차용하더라도 배경이나 소재에 무게를 지나치게 싣지는 않는다.
민족과 언어를 넘어서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호소하는 작가이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
1954년 11월8일 일본 나가사키에서 태어난 이시구로는 영국 국립해양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한 아버지를 따라 1960년 영국으로 이주했다.
켄트대에서 철학을, 이스트앵글리아대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한 이시구로는 싱어송라이터를 꿈꾸기도 했고 사회복지사로 일한 경력이 있다.
이시구로는 1982년 발표한 첫 소설 '창백한 언덕 풍경'이 주목받으면서 전업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영국에 거주하는 일본 출신 중년 여인 에츠코의 시선을 통해 전후 일본의 황폐한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언급하긴 하지만 전쟁이나 폭격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다만 과거를 회상하고 싶지 않다며 딸에게 일본 이름을 붙이기 반대했던 에츠코의 기억을 파고든다.
이시구로는 이 소설로 위니프레드 홀트비 기념상을 수상했다.
이후 1980년대에 발표한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 '남아 있는 나날' 등 3편으로 동시대 영국 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1986년작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제국주의에 가담해 선동적 작품을 그렸던 늙은 화가 마스지 오노의 회고담이다.
딸의 결혼을 앞두고 과거의 인물들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전범'이었던 옛 행적이 하나둘 드러난다.
'남아 있는 나날'에선 영국의 한 저택 집사로 평생을 보낸 스티븐스가 주인의 호의로 6일간의 생애 첫 여행을 떠나면서 과거가 복원된다.
그의 인생과 기억에도 두 차례 세계대전 사이 1930년대 유럽의 역사가 얽혀 있다.
영화화 되기도 한 '남아 있는 나날'로 1989년 부커상을 수상한 이시구로는 배경과 인물이 서로 다른 세 작품을 두고 "같은 책을 세 번 썼다"고 했다.
그의 작품에서 배경과 사건은 본질이 아니다.
그는 "직업적인 면에서 소모적인 삶"을 사는 인간을 통해 "한 개인이 불편한 기억과 어떻게 타협하는지" 그린다고 설명한다.
1995년작 '위로받지 못한 사람들'에서 이시구로는 새로운 실험에 나선다.
과거와 현재·미래가 없는 초현실적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유명 피아니스트가 성공을 위해 버려야 했던 가치들을 되살리려 하지만 실패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서술했다.
현대인의 쓸쓸한 자화상이기도 한 이 소설은 '카프카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첼튼햄상을 받았다.
이시구로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때때로 인간은 틀릴 수도 있는 신념을 전력으로 붙잡고 자기 삶의 근거로 삼는다.
내 초기 작품들은 이런 인물들을 다룬다.
그 신념이 결과적으로 잘못된 것이었다고 할지라도 환멸에 빠져서는 안 된다.
그건 그저 그 탐색이 어렵다는 걸 발견한 것뿐이고, 탐색을 계속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
20년 전 부모의 실종사건을 파헤치는 한 사립탐정의 이야기인 '우리가 고아였을 때',(2000), 복제인간의 삶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성찰한 '나를 보내지 마'(2005), 최근작인 '파묻힌 거인'(2015)까지 이시구로의 작품 대부분이 국내에 번역돼 있다.
'창백한 언덕 풍경'과 '부유하는 세상들의 화가' 등을 옮긴 김남주 번역가는 "서양문학을 번역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이야기가 우리와는 문화와 역사가 다른 지식과 비판을 갖춘 독법이 필요한 남의 나라 이야기라는 것을 잊는 순간이 있다.
이시구로의 작품은 이런 면에서 인간 공통의 보편성에 기초해 읽는 이를 무장해제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이시구로의 작품에 내재된 것은 문학적 계산이나 포석이 아니라 오히려 적절히 분비되는 재능인 것 같다.
이런 미묘한 표현 방식을 지닌 작가가 있다는 것은, 해야 할 말보다 훨씬 많은 말이 넘치는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커다란 행운"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dada@yna.co.kr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일본계 영국 작가 가즈오 이시구로(63)의 말이다.
이시구로는 잊혀지고 왜곡된 기억을 복원해 보편적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작가다.
실제 벌어진 사건들을 종종 등장시키지만, 역사에 직접적 개입을 자제한 채 철저히 인간성 자체에 초점을 둔다.
SF소설의 형식을 차용하더라도 배경이나 소재에 무게를 지나치게 싣지는 않는다.
민족과 언어를 넘어서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호소하는 작가이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
1954년 11월8일 일본 나가사키에서 태어난 이시구로는 영국 국립해양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한 아버지를 따라 1960년 영국으로 이주했다.
켄트대에서 철학을, 이스트앵글리아대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한 이시구로는 싱어송라이터를 꿈꾸기도 했고 사회복지사로 일한 경력이 있다.
이시구로는 1982년 발표한 첫 소설 '창백한 언덕 풍경'이 주목받으면서 전업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영국에 거주하는 일본 출신 중년 여인 에츠코의 시선을 통해 전후 일본의 황폐한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언급하긴 하지만 전쟁이나 폭격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다만 과거를 회상하고 싶지 않다며 딸에게 일본 이름을 붙이기 반대했던 에츠코의 기억을 파고든다.
이시구로는 이 소설로 위니프레드 홀트비 기념상을 수상했다.
이후 1980년대에 발표한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 '남아 있는 나날' 등 3편으로 동시대 영국 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1986년작 '부유하는 세상의 화가'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제국주의에 가담해 선동적 작품을 그렸던 늙은 화가 마스지 오노의 회고담이다.
딸의 결혼을 앞두고 과거의 인물들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전범'이었던 옛 행적이 하나둘 드러난다.
'남아 있는 나날'에선 영국의 한 저택 집사로 평생을 보낸 스티븐스가 주인의 호의로 6일간의 생애 첫 여행을 떠나면서 과거가 복원된다.
그의 인생과 기억에도 두 차례 세계대전 사이 1930년대 유럽의 역사가 얽혀 있다.
영화화 되기도 한 '남아 있는 나날'로 1989년 부커상을 수상한 이시구로는 배경과 인물이 서로 다른 세 작품을 두고 "같은 책을 세 번 썼다"고 했다.
그의 작품에서 배경과 사건은 본질이 아니다.
그는 "직업적인 면에서 소모적인 삶"을 사는 인간을 통해 "한 개인이 불편한 기억과 어떻게 타협하는지" 그린다고 설명한다.
1995년작 '위로받지 못한 사람들'에서 이시구로는 새로운 실험에 나선다.
과거와 현재·미래가 없는 초현실적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유명 피아니스트가 성공을 위해 버려야 했던 가치들을 되살리려 하지만 실패하는 과정을 담담하게 서술했다.
현대인의 쓸쓸한 자화상이기도 한 이 소설은 '카프카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첼튼햄상을 받았다.
이시구로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때때로 인간은 틀릴 수도 있는 신념을 전력으로 붙잡고 자기 삶의 근거로 삼는다.
내 초기 작품들은 이런 인물들을 다룬다.
그 신념이 결과적으로 잘못된 것이었다고 할지라도 환멸에 빠져서는 안 된다.
그건 그저 그 탐색이 어렵다는 걸 발견한 것뿐이고, 탐색을 계속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
20년 전 부모의 실종사건을 파헤치는 한 사립탐정의 이야기인 '우리가 고아였을 때',(2000), 복제인간의 삶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성찰한 '나를 보내지 마'(2005), 최근작인 '파묻힌 거인'(2015)까지 이시구로의 작품 대부분이 국내에 번역돼 있다.
'창백한 언덕 풍경'과 '부유하는 세상들의 화가' 등을 옮긴 김남주 번역가는 "서양문학을 번역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이야기가 우리와는 문화와 역사가 다른 지식과 비판을 갖춘 독법이 필요한 남의 나라 이야기라는 것을 잊는 순간이 있다.
이시구로의 작품은 이런 면에서 인간 공통의 보편성에 기초해 읽는 이를 무장해제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이시구로의 작품에 내재된 것은 문학적 계산이나 포석이 아니라 오히려 적절히 분비되는 재능인 것 같다.
이런 미묘한 표현 방식을 지닌 작가가 있다는 것은, 해야 할 말보다 훨씬 많은 말이 넘치는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커다란 행운"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dad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