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실적에 코스피200 편입으로 수급 개선…공매도 방지는 '불리' 지적도
코스피 입성 셀트리온… 전문가들 "실적·수급 '양날개' 기대"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1위 셀트리온이 29일 코스피(유가증권시장)로의 이전상장을 결정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셀트리온이 코스피 입성으로 최근 계속되는 실적 성장세에 수급 개선 효과까지 '양 날개'를 달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소액주주들이 코스피 이전 이유로 내세웠던 공매도 방지 측면에서는 코스피의 상황이 코스닥보다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오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코스닥시장 조건부 상장폐지 및 유가증권시장 이전상장 결의의 건'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은 내년 초에 코스피에 상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증권가에서는 이전상장 시기를 11월 정도로 예상했으나 셀트리온 측은 준비 기간 필요하다며 이보다 늦은 내년 1월 이후에 상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형기 사장은 이날 주주총회에 앞서 기자들에게 "주관사 선정과 상장 예비심사 청구 등 절차를 거치면 연내는 힘들고 내년 1∼2월 정도에 (이전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코스피200지수 편입도 3월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코스피 이전 결정은 소액주주들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소액주주들은 코스닥보다 코스피 시장이 주가 흐름에 유리하고 공매도 위험이 적다며 코스피 이전을 주장해왔다.

증시 전문가들은 주가 흐름 측면에서는 코스피 이전으로 셀트리온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봤다.

셀트리온은 코스피 이전 시 시가총액 기준으로 20위 안에 들어 코스피200 지수 특례편입이 가능하므로 수급 측면에서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셀트리온 주가는 이런 기대감을 업고 최근 상승가도를 달렸다.

셀트리온 주가는 이날 기관을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하락하기는 했으나 코스피 이전 요구가 처음 제기된 지난달 초와 비교하면 30% 이상 올랐다.

유명간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셀트리온이 코스피로 이전하면 코스피200지수 특례편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인덱스 펀드 추종 자금이 유입되면서 기관과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유 연구원은 과거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이전 상장한 11개 종목의 사례를 들면서 "셀트리온도 기초여건 개선과 이전상장에 따른 긍정적인 수급, 공매도 감소 등으로 주가가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엄여진 신영증권 연구원도 "코스피로의 단순 이전 효과보다 코스피200지수 편입 효과가 더 크다.

상장 다음달께 코스피 200지수로 편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가총액 면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대형 바이오기업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설 가능성이 크다.

셀트리온은 삼성바이오로직스보다 실적은 좋지만 시가총액 규모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조원 가량 크다.

이런 전망을 뒷받침하는 것은 탄탄한 실적 흐름이다.

강양구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셀트리온의 주력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와 '트룩시마'가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도 4분기 중 유럽 내 판매허가를 받아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4만원에서 17만4천원으로 올렸다.

과거 상장 과정에서 여러 차례 고배를 마신 셀트리온으로서는 증시 '1부리그' 격인 코스피에 들어가는 자체로도 의미가 적지 않다.

셀트리온은 서정진 회장이 2002년 설립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 개발·제조업체다.

상장 초기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을 수차례 추진했으나 당시에는 아직 국내에 생소한 사업이라는 점,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 등으로 번번이 실패했고 결국 우회상장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램시마' 등 그동안 개발해온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국내외에서 성과를 인정받으면서 바이오·제약 업종을 대표하는 종목으로 자리 잡았고 결국 코스피로 '화려한 데뷔'를 앞두게 됐다.
코스피 입성 셀트리온… 전문가들 "실적·수급 '양날개' 기대"
다만 공매도 감소 면에서는 코스피가 코스닥보다 딱히 유리하지 않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셀트리온은 과거 공매도로 여러 차례 몸살을 앓아왔다.

2013년에는 서정진 회장이 과도한 공매도로 피해를 보고 있다며 감독기관에 '제대로 감시해 달라'고 촉구했고 공매도에 맞서 자사주 매입을 선언했다가 주가 시세조종 의혹으로 고발돼 검찰 조사를 받기도 했다.

소액주주들이 코스피 이전을 요구하면서 '공매도 감소'를 명분으로 내세운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 공매도과열종목지정요건 변경 등으로 코스닥보다 코스피가 공매도 방지에 불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가 최근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문턱을 낮추면서 코스피보다 코스닥시장에서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이 더 쉽도록 했기 때문이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제도 변화만 보면 공매도를 하기가 코스닥이 더 어렵다고 봐야 한다.

공매도 방지 목적으로는 코스닥에 있는 편이 더 낫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김잔디 기자 inishmo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