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 '정치 야심'에 순풍… 페이스북 지분 최대 14조원 매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가 급등 덕에 신주 발행 대신 구주 팔아 자선단체 재원 활용
"IT기업 창업주 지배력 유지용 '주식구조 변경' 관행에 제동 될 수도"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의 주가가 급등한 덕택에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경영권을 방어하면서도 정치적 야심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게 됐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지난 22일(이하 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에서 "페이스북 주식 3천500만∼7천500만 주를 향후 18개월에 걸쳐 팔 계획"이며, 매각 자금은 자신이 세운 자선단체에 조달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커버그가 팔기로 한 주식은 현재 가치로 60억∼128억 달러(약 6조7천억∼14조5천억 원)에 달한다.
이 같은 계획은 저커버그가 현재 지분 구조에서 주식을 매각해도 페이스북 경영권을 지키는 동시에 자신의 자선단체에 충분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란 계산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저커버그는 부인 프리실라 챈과 2015년 자선단체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고 자신의 재산 중 99%를 기부하겠다고 밝히면서 IT 업계를 넘어 정계로 행보를 넓히려는 것 아니냐는 뒷말을 낳았다.
당시 저커버그는 지분을 매각한 뒤에도 페이스북 지배권을 지키겠다는 속셈에서 신주 발행이라는 강수를 추진해왔으나 주주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1년 넘게 표류해왔다.
그러나 지난 1년 6개월에 걸쳐 페이스북 주가가 50% 넘게 오른 덕택에 저커버그는 신주 발행이라는 카드를 철회하게 됐다.
저커버그는 "프리실라와 나는 지구촌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의 역할을 다할 책임을 느낀다"면서 "이 때문에 지난해 신주 발행 계획을 발표했으나 지금은 우리에게 더 나은 방법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철회 배경을 밝혔다.
그는 "이에 따라 페이스북 이사회에 신주 발행안 철회를 요청했으며, 이사회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
페이스북은 22일 이러한 내용을 증권 시장에 공시했다.
저커버그가 보유한 페이스북 의결권은 59.7%로, 보통주 A주(Class A)에 비해 의결권이 10배에 달하는 B주(Class B) 중 86%를 갖고 있다.
페이스북 이사회는 의결권이 없는 C주를 발행해 저버커그의 지배력을 방어하고자 했지만 주주 중 일부는 "불공정 거래"라고 주장하며 지난해 신주 발행에 반대하는 소송을 냈다.
이에 따라 저커버그는 이번 주 델라웨어 주 형평법 법정에 서야 할 예정이었지만 신주 발행안 철회에 따라 법정 다툼도 종결짓게 됐다.
페이스북의 이번 행보에 따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IT 창업주와 주주 간 힘겨루기에도 영향을 받게 됐다고 FT는 진단했다.
뉴욕대(NYU) 스턴경영대학원의 스콧 갤러웨이 교수는 페이스북 사례를 통해 IT 기업들이 창업주의 영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주식 구조를 바꾸는 게 한층 어렵게 됐음을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우버, 에어비앤비 등이 향후 몇 년 안에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들은 의결권 없는 주식 발행안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FT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newglass@yna.co.kr
"IT기업 창업주 지배력 유지용 '주식구조 변경' 관행에 제동 될 수도"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의 주가가 급등한 덕택에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경영권을 방어하면서도 정치적 야심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게 됐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지난 22일(이하 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에서 "페이스북 주식 3천500만∼7천500만 주를 향후 18개월에 걸쳐 팔 계획"이며, 매각 자금은 자신이 세운 자선단체에 조달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커버그가 팔기로 한 주식은 현재 가치로 60억∼128억 달러(약 6조7천억∼14조5천억 원)에 달한다.
이 같은 계획은 저커버그가 현재 지분 구조에서 주식을 매각해도 페이스북 경영권을 지키는 동시에 자신의 자선단체에 충분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란 계산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저커버그는 부인 프리실라 챈과 2015년 자선단체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고 자신의 재산 중 99%를 기부하겠다고 밝히면서 IT 업계를 넘어 정계로 행보를 넓히려는 것 아니냐는 뒷말을 낳았다.
당시 저커버그는 지분을 매각한 뒤에도 페이스북 지배권을 지키겠다는 속셈에서 신주 발행이라는 강수를 추진해왔으나 주주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1년 넘게 표류해왔다.
그러나 지난 1년 6개월에 걸쳐 페이스북 주가가 50% 넘게 오른 덕택에 저커버그는 신주 발행이라는 카드를 철회하게 됐다.
저커버그는 "프리실라와 나는 지구촌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의 역할을 다할 책임을 느낀다"면서 "이 때문에 지난해 신주 발행 계획을 발표했으나 지금은 우리에게 더 나은 방법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철회 배경을 밝혔다.
그는 "이에 따라 페이스북 이사회에 신주 발행안 철회를 요청했으며, 이사회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덧붙였다.
페이스북은 22일 이러한 내용을 증권 시장에 공시했다.
저커버그가 보유한 페이스북 의결권은 59.7%로, 보통주 A주(Class A)에 비해 의결권이 10배에 달하는 B주(Class B) 중 86%를 갖고 있다.
페이스북 이사회는 의결권이 없는 C주를 발행해 저버커그의 지배력을 방어하고자 했지만 주주 중 일부는 "불공정 거래"라고 주장하며 지난해 신주 발행에 반대하는 소송을 냈다.
이에 따라 저커버그는 이번 주 델라웨어 주 형평법 법정에 서야 할 예정이었지만 신주 발행안 철회에 따라 법정 다툼도 종결짓게 됐다.
페이스북의 이번 행보에 따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IT 창업주와 주주 간 힘겨루기에도 영향을 받게 됐다고 FT는 진단했다.
뉴욕대(NYU) 스턴경영대학원의 스콧 갤러웨이 교수는 페이스북 사례를 통해 IT 기업들이 창업주의 영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주식 구조를 바꾸는 게 한층 어렵게 됐음을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우버, 에어비앤비 등이 향후 몇 년 안에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들은 의결권 없는 주식 발행안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FT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newgla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