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한달'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될까… 사드불똥에 안심 못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 의제 아냐"
만기를 앞둔 한중 통화스와프가 아직 안갯속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 3개국 중앙은행 수장이 한자리에 모이지만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문제는 다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13∼1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참석한다.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는 13일 만찬을 함께 한 뒤 14일 오전에 회의를 한다.
이강원 한은 국제협력국 금융협력팀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총재회의 기간에 통화스와프는 의제로 들어있지 않다"며 "통화스와프는 특정국 간 정책으로, 3개국 중앙은행 총재의 공통 관심사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총재회의에서는 글로벌 및 3국의 최근 경제 및 금융 동향 관련 의견이 교환될 것"이라며 "특히 가계, 기업, 정부의 총체적인 부채 현황이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중 중앙은행 총재는 이 기간 별도 회동도 하지 않는다.
이 팀장은 "3개국 총재 3명이 같이 활동하는 것이어서 한·중 총재가 따로 만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만기가 10월 10일로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았다.
한국 정부는 3천600억 위안(약 560억 달러) 규모 한중 통화스와프를 연장하고 싶다는 뜻을 꾸준히 밝혀왔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중국과 협의해서 차질없이 연장하는 것이 저희 방침"이라며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있고 최선 결과를 얻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물밑에서 중국과 꾸준히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은 2009년 4월 처음으로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후 두차례 연장했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처럼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화를 빌릴 수 있는 계약이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외환방어막을 높이고 양국 간 경제 협력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외교 갈등으로 한중 통화스와프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은 한국을 찾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제한하는 등 사드와 경제 문제를 연계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중 통화스와프가 연장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미국 등 주요 파트너 국가와 통화스와프가 모두 중단되는 상황을 맞는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2001년 20억 달러로 시작해 2012년 700억 달러까지 늘었지만 2015년 2월 중단됐다.
독도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외교갈등이 통화스와프의 발목을 잡았다.
한국은행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글로벌 금융위기 초기에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지만 2010년 2월 계약이 만료됐다.
우리나라는 외환보유액이 지난 8월 말 3천848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양자간 통화스와프 연장에도 공을 들였다.
한국은행은 올해 3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과 10조7천억원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연장했다.
이에 앞서 1월에는 말레이시아와 5조원의 통화스와프를 3년간 연장했고 2월에는 호주와 통화스와프 규모를 77억 달러(9조원·100억 호주달러)로 확대했다.
역내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를 통한 다자간 통화스와프 규모는 384억 달러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
만기를 앞둔 한중 통화스와프가 아직 안갯속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 3개국 중앙은행 수장이 한자리에 모이지만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문제는 다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13∼1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참석한다.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는 13일 만찬을 함께 한 뒤 14일 오전에 회의를 한다.
이강원 한은 국제협력국 금융협력팀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총재회의 기간에 통화스와프는 의제로 들어있지 않다"며 "통화스와프는 특정국 간 정책으로, 3개국 중앙은행 총재의 공통 관심사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총재회의에서는 글로벌 및 3국의 최근 경제 및 금융 동향 관련 의견이 교환될 것"이라며 "특히 가계, 기업, 정부의 총체적인 부채 현황이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중 중앙은행 총재는 이 기간 별도 회동도 하지 않는다.
이 팀장은 "3개국 총재 3명이 같이 활동하는 것이어서 한·중 총재가 따로 만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만기가 10월 10일로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았다.
한국 정부는 3천600억 위안(약 560억 달러) 규모 한중 통화스와프를 연장하고 싶다는 뜻을 꾸준히 밝혀왔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중국과 협의해서 차질없이 연장하는 것이 저희 방침"이라며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있고 최선 결과를 얻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물밑에서 중국과 꾸준히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은 2009년 4월 처음으로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후 두차례 연장했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처럼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화를 빌릴 수 있는 계약이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외환방어막을 높이고 양국 간 경제 협력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외교 갈등으로 한중 통화스와프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은 한국을 찾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제한하는 등 사드와 경제 문제를 연계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중 통화스와프가 연장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미국 등 주요 파트너 국가와 통화스와프가 모두 중단되는 상황을 맞는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2001년 20억 달러로 시작해 2012년 700억 달러까지 늘었지만 2015년 2월 중단됐다.
독도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외교갈등이 통화스와프의 발목을 잡았다.
한국은행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글로벌 금융위기 초기에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지만 2010년 2월 계약이 만료됐다.
우리나라는 외환보유액이 지난 8월 말 3천848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양자간 통화스와프 연장에도 공을 들였다.
한국은행은 올해 3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과 10조7천억원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연장했다.
이에 앞서 1월에는 말레이시아와 5조원의 통화스와프를 3년간 연장했고 2월에는 호주와 통화스와프 규모를 77억 달러(9조원·100억 호주달러)로 확대했다.
역내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를 통한 다자간 통화스와프 규모는 384억 달러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