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에너지 2050년엔 100% 청정 재생에너지로 전환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연구팀, 청정 재생 에너지 전력 체제로 전환 전략 제시
"2050년엔 세계 139개국이 청정 재생 에너지만을 사용할 수 있다.
관련 기술과 경제성은 충분하며 단지 필요한 것은 사고와 정책의 전환이다.
"
미국 스탠포드대학 토목·환경공학과 마크 제이콥슨 교수가 이끄는 26명의 미국 학자들은 '100% 재생 에너지 사회로 가는 이정표(로드맵)'라는 논문을 최근 학술지 '줄'(Joule·에너지 단위)에 발표했다.
세계적 학술 출판사 '셀 프레스'가 창간한 지속가능 에너지 분야 학술지 줄에 실린 이 글의 핵심 주장은 "에너지 생산·소비의 근본 시스템을 바꾸면 30여년 안에 화석연료나 원자력 없이 풍력, 태양광, 수력·조력, 지열 발전 만으로 에너지 수요를 충당할수 있다"는 것이다. 주장의 이론적 근거는 크게 에너지 생산과 소비, 비용 등 3가지로 나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139개국의 모든 에너지자원 보유 및 활용 실태와 예측, 기술수준, 산업과 고용 현황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들에 따르면, 우선 현재까지 확보돼 있고 또 급속도로 발전하는 풍력·수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 기술과 원가 하락 등을 감안하면 청정에너지 생산량이 갈수록 늘어나고 값이 매우 싸진다.
그다음 에너지 소비 방식을 모두 전력으로 바꾸면 에너지 수요가 총 35%나 줄어들기 때문에 수급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실제 운행에 소모되는 에너지는 20% 미만이고 나머지는 열 등으로 80%가 손실되는 반면 전기차는 손실률이 20% 미만이다.
따라서 운송수단을 비롯한 전 분야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이용하면 에너지 수요가 평균 23% 감소한다.
여기에다 광산, 운송, 정유 등 기존방식 에너지 생산과 유통에 소모되는 에너지 감소분 13%를 합치면 수요가 3분의 1 이상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처럼 수요를 줄이면서 청정에너지로 바꾸면 엄청난 부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한다.
지구온난화 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엄청나게 감소하고, 유해 가스로 인한 조기 사망을 연간 400만~700만명 예방하고 관련 질환 발생을 크게 낮출 수 있다.
그 덕에 보건의료·환경비용이 기존의 4분의 1로 줄어들어200조 달러를 아낄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계산이다.
.
또 2050년까지 청정 재생에너지 관련 정규직 일자리가 총 5천200만개 새로 생기는 반면 기존 화석연료 체제 관련 일자리는 2천770만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계산하면 막대한 추가 비용 없이 배출 가스 제로 사회실현이 가능하며, 그 장점이 너무나 크고 갈수록 더 커질 것이기 때문에 하루 속히 화석연료 체제를 퇴장시키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소 허황된 주장으로도 보일 수 있는 이 계획은 공동연구팀이 미국 50개 주의 에너지 체제를 청정 전력으로 바꾸자며 발표한 내용을 세계적으로 확대하고 학문적 근거를 심화한 것이다.
연구팀은 '실현 가능한 방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제이콥슨 교수팀은 "정책입안가들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합리적이고 과학적 근거가 없으면 실행하려 하지 않는다"면서 "개인과 정부와 기업이 이런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뒷받침해주기 위해 이 연구결과와 로드맵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 로키마운틴연구소의 마크 다이슨 박사는 이 논문에 대해 저탄소 경제를실현 방안에 대한 그간 연구성과들을 종합해 튼튼한 증거로 삼으면서 과학계, 정책입안가, 기업 등이 잘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평했다. 한편, 제이콥슨 교수팀은 일각에서 '청정 석탄'이라고 주장하는 원전을 청정 재생에너지에서 제외했다.
계획에서 가동까지 10~19년이 걸리는 데다, 총체적 비용이 비싸고 폐기물 처리·원자로 사고·핵무기확산 위험 등을 고려해서다.
또 바이오연료는 에너지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청정에너지의 50배 이상이고 대기를 심하게 오염시켜 제외했다고 밝혔다.
다만 지열 저장과 활용은 모든 나라에 적용할 수는 없지만 상당수 국가에서 특히 지역난방에 활용할 여지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미국, 중국, 유럽연합 등 국토가 넓은 나라들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이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싱가포르처럼 인구밀도가 높고 바다에 둘러싸인 작은 나라들은 상대적으로 어려우므로 해상 태양광에 많이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choibg@yna.co.kr
관련 기술과 경제성은 충분하며 단지 필요한 것은 사고와 정책의 전환이다.
"
미국 스탠포드대학 토목·환경공학과 마크 제이콥슨 교수가 이끄는 26명의 미국 학자들은 '100% 재생 에너지 사회로 가는 이정표(로드맵)'라는 논문을 최근 학술지 '줄'(Joule·에너지 단위)에 발표했다.
세계적 학술 출판사 '셀 프레스'가 창간한 지속가능 에너지 분야 학술지 줄에 실린 이 글의 핵심 주장은 "에너지 생산·소비의 근본 시스템을 바꾸면 30여년 안에 화석연료나 원자력 없이 풍력, 태양광, 수력·조력, 지열 발전 만으로 에너지 수요를 충당할수 있다"는 것이다. 주장의 이론적 근거는 크게 에너지 생산과 소비, 비용 등 3가지로 나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139개국의 모든 에너지자원 보유 및 활용 실태와 예측, 기술수준, 산업과 고용 현황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들에 따르면, 우선 현재까지 확보돼 있고 또 급속도로 발전하는 풍력·수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 기술과 원가 하락 등을 감안하면 청정에너지 생산량이 갈수록 늘어나고 값이 매우 싸진다.
그다음 에너지 소비 방식을 모두 전력으로 바꾸면 에너지 수요가 총 35%나 줄어들기 때문에 수급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실제 운행에 소모되는 에너지는 20% 미만이고 나머지는 열 등으로 80%가 손실되는 반면 전기차는 손실률이 20% 미만이다.
따라서 운송수단을 비롯한 전 분야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이용하면 에너지 수요가 평균 23% 감소한다.
여기에다 광산, 운송, 정유 등 기존방식 에너지 생산과 유통에 소모되는 에너지 감소분 13%를 합치면 수요가 3분의 1 이상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처럼 수요를 줄이면서 청정에너지로 바꾸면 엄청난 부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한다.
지구온난화 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엄청나게 감소하고, 유해 가스로 인한 조기 사망을 연간 400만~700만명 예방하고 관련 질환 발생을 크게 낮출 수 있다.
그 덕에 보건의료·환경비용이 기존의 4분의 1로 줄어들어200조 달러를 아낄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계산이다.
.
또 2050년까지 청정 재생에너지 관련 정규직 일자리가 총 5천200만개 새로 생기는 반면 기존 화석연료 체제 관련 일자리는 2천770만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을 계산하면 막대한 추가 비용 없이 배출 가스 제로 사회실현이 가능하며, 그 장점이 너무나 크고 갈수록 더 커질 것이기 때문에 하루 속히 화석연료 체제를 퇴장시키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소 허황된 주장으로도 보일 수 있는 이 계획은 공동연구팀이 미국 50개 주의 에너지 체제를 청정 전력으로 바꾸자며 발표한 내용을 세계적으로 확대하고 학문적 근거를 심화한 것이다.
연구팀은 '실현 가능한 방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제이콥슨 교수팀은 "정책입안가들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합리적이고 과학적 근거가 없으면 실행하려 하지 않는다"면서 "개인과 정부와 기업이 이런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뒷받침해주기 위해 이 연구결과와 로드맵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미국 로키마운틴연구소의 마크 다이슨 박사는 이 논문에 대해 저탄소 경제를실현 방안에 대한 그간 연구성과들을 종합해 튼튼한 증거로 삼으면서 과학계, 정책입안가, 기업 등이 잘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평했다. 한편, 제이콥슨 교수팀은 일각에서 '청정 석탄'이라고 주장하는 원전을 청정 재생에너지에서 제외했다.
계획에서 가동까지 10~19년이 걸리는 데다, 총체적 비용이 비싸고 폐기물 처리·원자로 사고·핵무기확산 위험 등을 고려해서다.
또 바이오연료는 에너지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청정에너지의 50배 이상이고 대기를 심하게 오염시켜 제외했다고 밝혔다.
다만 지열 저장과 활용은 모든 나라에 적용할 수는 없지만 상당수 국가에서 특히 지역난방에 활용할 여지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미국, 중국, 유럽연합 등 국토가 넓은 나라들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이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싱가포르처럼 인구밀도가 높고 바다에 둘러싸인 작은 나라들은 상대적으로 어려우므로 해상 태양광에 많이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choib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