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친환경차를 앞세워 재도약 승부수를 띄웠다. 한 번 충전으로 580㎞를 달릴 수 있는 차세대 수소연료전기자동차(ECEV)를 예정보다 앞당겨 전격 공개했다. 기아차를 포함해 14개인 친환경차 모델을 2020년까지 31개로 늘려 친환경차 대중화에 물꼬를 트겠다는 목표다.

현대차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높은 가격, 인프라 부족 등으로 판매가 기대에 못 미쳤다. 그 사이 일본 도요타에 따라잡혔다는 뼈아픈 평가까지 감수해야 했다. 이번 차세대 수소차 공개는 다시 주도권을 찾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친환경차 확대 역시 세계시장을 휘어잡은 도요타에 이어 2위로 올라서겠다는 것이어서 친환경차를 놓고 정면승부를 선언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기업이 목표를 분명히 제시한 만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도 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에 더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인프라를 확충해도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선 높은 성능과 낮은 가격이 관건이다. 문제는 이런 경쟁력은 기업이 아무리 연구개발 투자를 해도 근로현장에서의 혁신이 뒤따르지 않으면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대·기아차가 따라잡겠다는 상대가 도요타라면 더욱 그렇다.

경직적인 노동시장, 낮은 생산성 속 고임금에다 툭하면 파업으로 직행하는 상황에선 기업은 물론 자동차산업 자체가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신규 라인업, 모듈화, 전환 배치, 재교육 등과 관련해 노조가 일일이 제동을 거는 경영환경에선 더 말할 것도 없다. 현대차의 친환경차가 꽃피우려면 근로현장의 혁신이 절실한 이유다. 한국 자동차산업이 위기다. 정부의 협력과 함께 노조의 동참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