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역서 2분간 태양이 사라진다… 한국 "코로나 원정 관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9년 만의 개기일식 쇼…천문연구원-NASA 코로나 공동 연구
오는 21일(한국시각 22일) 미국 전역에서 개기일식 쇼가 펼쳐진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원정 관측단을 파견해 개기일식 때만 관측이 가능한 코로나를 연구할 예정이다.
16일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1일 태평양 연안인 북서부 오리건 주(州)부터 대서양 연안인 남동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州)까지 미국 전역을 관통하는 개기일식이 관측된다.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을 개기일식이라 부른다.
천체의 공전에 따라 부분일식은 1년에 두 차례 나타나지만, 개기일식은 대부분 대양에서 관측될 뿐 지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미 대륙 전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은 1918년 6월 8일 워싱턴주에서 플로리다 주까지 관통한 개기일식 이후 99년 만의 일이다.
개기일식은 지상에서 태양의 대기층(코로나)를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게 되면 평소 밝은 빛 때문에 볼 수 없었던 코로나가 어둠 속에서 발광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천문연은 기상조건과 개기식의 지속 시간, 혼잡도 등을 고려해 관측지역을 선정, 지난해 9월 와이오밍주 잭슨시에 위치한 국립공원 내 제한지역을 선택해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번 개기일식에서 미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를 활용해 코로나 관측을 시도할 예정이다.
코로나 그래프는 태양 관측 망원경에 태양 광구면 차폐기를 만들어 인공적인 개기일식을 일으키는 장치로,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NASA와 공동으로 코로나 그래프를 개발하고 있다.
관측단은 백색광 관측, 백색광 편광관측, 내부 코로나 관측, H-알파 편광관측 등을 동시해 수행해 코로나의 특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개기일식 중에는 달이 차폐하는 역할을 하므로 태양을 가리는 차폐기 없이 필터와 편광시스템만을 사용해 관측한다.
일식은 잭슨시 기준으로 21일 오전 10시 17분부터 오후 1시 1분까지 진행되며, 개기식은 11시 35분 4초에 시작해 2분 20초 동안 태양이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이번 개기일식은 북미, 중미, 남미 북부지역, 유럽 서부, 아프리카 서부 등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조경석 천문연 우주과학본부장은 "이번 일식 관측을 통해 우리가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의 성능을 시험할 계획"이라며 "태양 표면보다 월등히 온도가 높은 코로나의 가열 원인을 규명하고, 지구에 영향을 주는 태양 우주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그래프 개발을 담당하는 최성환 천문연 박사는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가 완성되면 코로나 관측 이외에도 태양풍의 속도 등 여러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며 "지구 주변의 우주환경 예보 적중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음 개기일식은 2019년 7월 2일 태평양, 칠레, 아르헨티나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는 2035년 9월 2일 오전 9시 40분께 북한 평양,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서울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 가능하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한국천문연구원은 원정 관측단을 파견해 개기일식 때만 관측이 가능한 코로나를 연구할 예정이다.
16일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1일 태평양 연안인 북서부 오리건 주(州)부터 대서양 연안인 남동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州)까지 미국 전역을 관통하는 개기일식이 관측된다.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을 개기일식이라 부른다.
천체의 공전에 따라 부분일식은 1년에 두 차례 나타나지만, 개기일식은 대부분 대양에서 관측될 뿐 지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미 대륙 전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은 1918년 6월 8일 워싱턴주에서 플로리다 주까지 관통한 개기일식 이후 99년 만의 일이다.
개기일식은 지상에서 태양의 대기층(코로나)를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게 되면 평소 밝은 빛 때문에 볼 수 없었던 코로나가 어둠 속에서 발광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천문연은 기상조건과 개기식의 지속 시간, 혼잡도 등을 고려해 관측지역을 선정, 지난해 9월 와이오밍주 잭슨시에 위치한 국립공원 내 제한지역을 선택해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번 개기일식에서 미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를 활용해 코로나 관측을 시도할 예정이다.
코로나 그래프는 태양 관측 망원경에 태양 광구면 차폐기를 만들어 인공적인 개기일식을 일으키는 장치로, 천문연은 202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NASA와 공동으로 코로나 그래프를 개발하고 있다.
관측단은 백색광 관측, 백색광 편광관측, 내부 코로나 관측, H-알파 편광관측 등을 동시해 수행해 코로나의 특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개기일식 중에는 달이 차폐하는 역할을 하므로 태양을 가리는 차폐기 없이 필터와 편광시스템만을 사용해 관측한다.
일식은 잭슨시 기준으로 21일 오전 10시 17분부터 오후 1시 1분까지 진행되며, 개기식은 11시 35분 4초에 시작해 2분 20초 동안 태양이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이번 개기일식은 북미, 중미, 남미 북부지역, 유럽 서부, 아프리카 서부 등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조경석 천문연 우주과학본부장은 "이번 일식 관측을 통해 우리가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의 성능을 시험할 계획"이라며 "태양 표면보다 월등히 온도가 높은 코로나의 가열 원인을 규명하고, 지구에 영향을 주는 태양 우주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그래프 개발을 담당하는 최성환 천문연 박사는 "개발 중인 코로나 그래프가 완성되면 코로나 관측 이외에도 태양풍의 속도 등 여러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며 "지구 주변의 우주환경 예보 적중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음 개기일식은 2019년 7월 2일 태평양, 칠레, 아르헨티나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는 2035년 9월 2일 오전 9시 40분께 북한 평양,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서울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 가능하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