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형 공론화위원장 "구체적으로 결정한 내용 없어…오해 없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혼선으로 비쳐 유감…당초 방향과 다르게 변경 의결한 것 아냐"
"공론화 과정 생소한 경험에서 비롯된 일…유익한 진통"
김지형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은 28일 "아직은 위원회가 숙의(熟議) 과정을 어떻게 설계·관리할 것인가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내용이 없다는 점에 오해가 없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공론화위 대변인이 2차 회의결과를 언론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위원회 사이에 공론화 과정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혼선이 있는 것처럼 비친 것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가 공론화 과정에 대한 방향을 당초 방향과 전혀 다르게 변경하기로 의결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공론화 과정의 핵심은 공론화 의제에 대한 숙의 과정"이라며 "위원회로서는 숙의를 통해 얻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그 결론을 정부에 전달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임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위원회는 숙의 과정에 대해 가능한 다양한 의견을 여러 가지 형태로 경청하고 있다"며 "그러한 의견들은 앞으로 위원회가 숙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계·관리하는 안건 심의를 하면서 녹아들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날 공론화위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면서 "공론조사와 배심원제는 다른 개념인데 오해가 있었다.
배심원단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공론조사 내용을 결정권자에게 권고하며 조사 대상자들이 결정을 내리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당초 정부는 공론화위는 공론조사 작업을 설계·관리하고, 공론화위 설계에 따라 구성한 배심원단이 결정을 내리게 하겠다는 방침이었다.
논란이 빚어지자 공론화위는 다시 대변인 브리핑을 열어 "위원회의 최종 결정이 아니라 회의에서 전문가가 말한 건데 전달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다.
향후 추가논의를 진행하겠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공론화 방향을 변경하기로 의결한 것은 아니고, 어떻게 할지 결정한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이번 논란에 대해 "공론화 과정 자체가 우리 모두에게 생소한 경험인 데서 비롯한 일이라 여겨진다"며 "좋은 결과를 끌어내기 위한 데서 나올 수 있는 하나의 유익한 진통이라고도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앞으로도 공론화 과정을 축적해 가면서 정확한 이해를 구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설명을 해 드리겠다"며 "이번 공론화 과정이 원만하게 진행돼 중요한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해 국민통합의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나가는 데 좋은 시금석이 될 수 있도록 믿고 성원해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
"공론화 과정 생소한 경험에서 비롯된 일…유익한 진통"
김지형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은 28일 "아직은 위원회가 숙의(熟議) 과정을 어떻게 설계·관리할 것인가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내용이 없다는 점에 오해가 없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공론화위 대변인이 2차 회의결과를 언론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위원회 사이에 공론화 과정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혼선이 있는 것처럼 비친 것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가 공론화 과정에 대한 방향을 당초 방향과 전혀 다르게 변경하기로 의결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공론화 과정의 핵심은 공론화 의제에 대한 숙의 과정"이라며 "위원회로서는 숙의를 통해 얻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그 결론을 정부에 전달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임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위원회는 숙의 과정에 대해 가능한 다양한 의견을 여러 가지 형태로 경청하고 있다"며 "그러한 의견들은 앞으로 위원회가 숙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계·관리하는 안건 심의를 하면서 녹아들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날 공론화위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면서 "공론조사와 배심원제는 다른 개념인데 오해가 있었다.
배심원단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공론조사 내용을 결정권자에게 권고하며 조사 대상자들이 결정을 내리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당초 정부는 공론화위는 공론조사 작업을 설계·관리하고, 공론화위 설계에 따라 구성한 배심원단이 결정을 내리게 하겠다는 방침이었다.
논란이 빚어지자 공론화위는 다시 대변인 브리핑을 열어 "위원회의 최종 결정이 아니라 회의에서 전문가가 말한 건데 전달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다.
향후 추가논의를 진행하겠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공론화 방향을 변경하기로 의결한 것은 아니고, 어떻게 할지 결정한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이번 논란에 대해 "공론화 과정 자체가 우리 모두에게 생소한 경험인 데서 비롯한 일이라 여겨진다"며 "좋은 결과를 끌어내기 위한 데서 나올 수 있는 하나의 유익한 진통이라고도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앞으로도 공론화 과정을 축적해 가면서 정확한 이해를 구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설명을 해 드리겠다"며 "이번 공론화 과정이 원만하게 진행돼 중요한 사회적 갈등 사안에 대해 국민통합의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나가는 데 좋은 시금석이 될 수 있도록 믿고 성원해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