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호주 간 정례 연합군사훈련(탈리스만 세이버)이 25일 종료됐다. 이번 훈련엔 양국의 육·해·공군 병력 3만여 명이 참가했다. 로버트 브라운 미국 태평양사령부 육군사령관(왼쪽)과 데이비드 존스턴 호주 해군중장이 훈련 종료식이 열린 미 항공모함 USS로널드레이건호 선상을 걸어가고 있다. 브리즈번 EPA연합
미국과 호주 간 정례 연합군사훈련(탈리스만 세이버)이 25일 종료됐다. 이번 훈련엔 양국의 육·해·공군 병력 3만여 명이 참가했다. 로버트 브라운 미국 태평양사령부 육군사령관(왼쪽)과 데이비드 존스턴 호주 해군중장이 훈련 종료식이 열린 미 항공모함 USS로널드레이건호 선상을 걸어가고 있다. 브리즈번 EPA연합
중국이 최근 북한과의 접경지역에서 군사적 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 보도했다. 미국의 대북(對北) 군사행동을 염두에 둔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난 1월부터 다양한 조치

"중국, 1400여㎞ 북한 국경에 군사력 강화…미국의 대북 선제공격 대비"
WSJ는 중국 국방부를 비롯한 각종 군 관련 홈페이지와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올 들어 중국군이 1400여㎞에 이르는 북·중 접경지역에서 다양한 전력 강화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접경지역 방어를 전담하는 여단급 부대를 신설하는가 하면, 드론(무인항공기)을 활용한 24시간 영상 정찰 시스템도 갖췄다. 핵 공격과 화생방 공격에 대비한 지하벙커도 다수 구축했다. 중국 동부지역에 있던 기갑보병 부대를 국경지역으로 전진 배치하기도 했다.

지난달엔 공격용 헬기를 동원한 실전 화력훈련을 하는 등 특수부대 공수부대 등이 참여하는 군사훈련의 빈도도 잦아지고 있다. 중국군의 이런 움직임은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 도발에 미국이 대북 군사행동 가능성을 거론한 지난 1월부터 시작됐다.

중국 국방부는 접경지역의 군 움직임이 북한과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 중국군은 평소와 다름없는 상태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중국 외교부도 지난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군사적인 옵션은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이 돼선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 정부 측 인사들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지난해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 작업의 일환이라고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군사 문제에 정통한 서방 전문가들의 분석은 다르다.

미 국방부에서 근무한 전직 고위 관리인 마크 코사드는 “중국군의 동향은 단순히 국경지역 안보를 공고히 하려는 차원을 넘어선다”고 평가했다. WSJ는 복수의 군사 전문가를 인용해 “중국은 미국의 대북 공격이나 북한 정권 붕괴 시 북한 핵시설을 비롯한 주요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 대비

중국 내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에 대한 준비태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소장 출신인 왕하이위는 지난 5월 중국의 한 국방 분야 싱크탱크가 발간한 잡지의 기고문을 통해 “미국이 북한을 선제타격하더라도 북·중 접경지역에 핵 오염이 발생해선 안 되고,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중국은 미국에 분명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만약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하면 중국은 즉각 북한을 점령해 주요 핵시설을 통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이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이 중국 정부의 엄격한 언론 검열을 통과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고 WSJ는 지적했다.

중국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 단계에선 미국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군사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중국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북핵 문제가 악화되면 중국군과 미군이 6·25전쟁 이후 처음으로 한반도에서 대치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코사드는 “미국과 중국이 어디에서 가장 먼저 충돌할 것인지 내기를 걸라면 대만, 남중국해, 동중국해가 아니라 한반도에 걸겠다”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