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4차 산업혁명 중심에 안전이 있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존 산업틀 허무는 4차 산업혁명
편의와 함께 재앙 요인도 안고 있어
새로운 위험 예측해 '안전' 확보해야
김영기 < 대한산업안전협회장 >
편의와 함께 재앙 요인도 안고 있어
새로운 위험 예측해 '안전' 확보해야
김영기 < 대한산업안전협회장 >
매년 7월 첫째 주는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이다. 올해는 3일부터 닷새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첨단 안전기술을 소개하고 안전의식을 고취시키는 행사가 다채롭게 열린다. 50회를 맞은 올해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행사는 예년보다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안전 분야는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함께 큰 도전에 직면했다. 4차 산업혁명은 국지적이고 정형화돼 있던 기존 산업의 틀을 깨 버렸다. ‘현실’과 ‘가상’의 융합을 통해 산업구조는 물론 인간의 삶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범위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의 신사업과 신문물의 출현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지대를 드론(무인 항공기)이 날아다니며 안전점검을 하고 있고, 운전자 없이 운행하는 자동차가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공장 설비는 운용자의 조작이 없어도 스스로 생산과 출하, 품질관리까지 한다.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사회 각 분야에서 소비자의 마음까지 읽어낼 정도로 세밀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수년 전만 해도 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충분한 검토와 확인을 거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문물이 아니며, 등장 전과 후의 파급력이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간극이 크다. 이 급진적 변화에 안전이 흔들릴 우려가 상당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이 선사할 거대한 편익에 젖어 그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안전이 서지 못하거나,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안전이 발을 맞추지 못하면 우리 사회는 결국 엄청난 폭탄을 껴안게 된다는 사실을 말이다. 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를 예로 들어보자. 이는 IoT를 활용해 설비 관리를 하는 것으로, 센서가 부착된 설비 간에 오가는 정보를 통해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설비에 대해 사전에 안전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매우 복잡·고도화된 시스템이다 보니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오류나 시스템의 충돌 등이 일어나면 매우 정교한 복구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가동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아울러 중앙 컨트롤 체계에 악의적인 사이버 집단의 공격 행위가 가해질 경우 공정 전체가 한순간 멈추거나 큰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나의 공장이면 수습 가능하겠지만, 클라우드 등을 통해 연계된 네트워크 공장 모두가 피해를 입는다면 복구는 힘들어진다. 피해 대상이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 기반시설이라면 그야말로 재앙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잡화 광역화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특성에 기반해 새롭게 등장하는 위험 요인을 감안해 기술의 진화가 안전의 진화로 연결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AI 로봇의 개발 과정에서 로봇이 불러올 위험을 예측하고 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자율주행차의 성능 개선과 함께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 확보에도 주력해야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가 진정한 4차 산업혁명의 리더로 나아가는 길이다. 옛 경제성장기처럼 안전을 무시한 채 급진적으로 신기술의 발전만 추구한다면 새로운 시대에서도 반쪽짜리 성공을 거둘 뿐이다.
김영기 < 대한산업안전협회장 >
안전 분야는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함께 큰 도전에 직면했다. 4차 산업혁명은 국지적이고 정형화돼 있던 기존 산업의 틀을 깨 버렸다. ‘현실’과 ‘가상’의 융합을 통해 산업구조는 물론 인간의 삶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범위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의 신사업과 신문물의 출현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지대를 드론(무인 항공기)이 날아다니며 안전점검을 하고 있고, 운전자 없이 운행하는 자동차가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공장 설비는 운용자의 조작이 없어도 스스로 생산과 출하, 품질관리까지 한다.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사회 각 분야에서 소비자의 마음까지 읽어낼 정도로 세밀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수년 전만 해도 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충분한 검토와 확인을 거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문물이 아니며, 등장 전과 후의 파급력이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간극이 크다. 이 급진적 변화에 안전이 흔들릴 우려가 상당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이 선사할 거대한 편익에 젖어 그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안전이 서지 못하거나,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안전이 발을 맞추지 못하면 우리 사회는 결국 엄청난 폭탄을 껴안게 된다는 사실을 말이다. 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를 예로 들어보자. 이는 IoT를 활용해 설비 관리를 하는 것으로, 센서가 부착된 설비 간에 오가는 정보를 통해 설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설비에 대해 사전에 안전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매우 복잡·고도화된 시스템이다 보니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오류나 시스템의 충돌 등이 일어나면 매우 정교한 복구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가동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아울러 중앙 컨트롤 체계에 악의적인 사이버 집단의 공격 행위가 가해질 경우 공정 전체가 한순간 멈추거나 큰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나의 공장이면 수습 가능하겠지만, 클라우드 등을 통해 연계된 네트워크 공장 모두가 피해를 입는다면 복구는 힘들어진다. 피해 대상이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 기반시설이라면 그야말로 재앙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잡화 광역화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특성에 기반해 새롭게 등장하는 위험 요인을 감안해 기술의 진화가 안전의 진화로 연결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AI 로봇의 개발 과정에서 로봇이 불러올 위험을 예측하고 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자율주행차의 성능 개선과 함께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 확보에도 주력해야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가 진정한 4차 산업혁명의 리더로 나아가는 길이다. 옛 경제성장기처럼 안전을 무시한 채 급진적으로 신기술의 발전만 추구한다면 새로운 시대에서도 반쪽짜리 성공을 거둘 뿐이다.
김영기 < 대한산업안전협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