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65세 고령자의 평균 의료비 지출액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들이 느끼는 부모 의료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 정부도 이에 맞춰 건강보험의 보장 범위를 넓히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노후 의료비를 감당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미리부터 민영보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인 의료비 2020년엔 459만원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서면서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도 지난 5월 펴낸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 의료비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65세 이상 노인 한 명의 의료비 지출이 2020년 459만원, 2030년 760만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 1인당 부담해야 할 의료비 규모도 늘어난다는 의미다.
이는 2015년(357만원) 대비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특히 75세 이상 고령자의 2030년 1인당 의료비는 1224만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소득은 줄거나 없어지고 의료비는 늘어나는 상황을 ‘데드크로스(Dead-Cross)’라고 이름짓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이 같은 데드크로스 현상이 이미 심화돼 2008년 ‘의료비 적정화 계획’ 등을 통해 노인 의료비 정책을 내놨다. 문제는 한국의 노인 의료비 증가 속도가 일본보다 두 배 이상 빠르다는 데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노인 인구는 빠른 속도로 느는 데 노인 의료비 대책은 걸음마 단계”라고 지적했다.

◆급증하는 자녀의 의료비 부담

노인 의료비 규모가 증가하는 만큼 자녀들의 부담도 늘고 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가 부모를 직접 부양하거나 경제적으로 지원한 경험이 있는 40~50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0~50대 중장년층 가운데 절반가량은 부모를 위해 지금까지 1000만원 이상의 의료비를 지출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000만원 이상을 의료비로 쓴 중장년층도 10명 중 1명꼴이었다.

응답자들은 부모를 부양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의료·간병비 부담(48.9%, 중복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생활비 부담(47.6%), 간병 부담(33.1%), 부모와의 정신적 갈등(31.6%) 등의 순이었다. 부모가 겪은 질병으로는 암이 34.5%로 가장 많았다. 고혈압·저혈압(27.6%), 뇌혈관 질환(24.7%) 등이 뒤를 이었다. 앞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부모 의료비가 발생할 경우 34.5%는 ‘생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까지만 부담하겠다’고 답했다. ‘빚을 내서라도 의료비를 마련하겠다’는 응답은 32.8%였다.
◆노후 의료비 보장해주는 보험은?

보험사들은 이처럼 노인 의료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보험상품의 보장 범위를 넓히거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보험 상품을 내놓고 있다. 치매에 걸렸을 때 드는 각종 비용을 보장해주는 보험의 보장 범위도 넓히는 추세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는 데다 질병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서다.

최근 나온 치매 관련 보험의 보장 기간은 종전 80세에서 100세 또는 종신까지 늘어나는 추세다. 또 중증치매만 보장하던 것과 달리 경증치매 치료비도 보장해준다. 치매로 인한 진료비, 요양비 등 각종 비용은 LTC(장기요양)보험이나 간병보험, 노후보장보험(실버보험 등) 등으로 대비할 수 있다. LTC보험, 간병보험, 노후보장보험은 치매에 걸렸을 때 드는 각종 비용을 보상해주기 때문에 ‘치매보험’으로 불린다.

유병자, 고령자 등 보험 가입이 어려웠던 이들을 대상으로 한 간편심사보험도 많아졌다. △5년 내 암진단 또는 암치료 △2년 내 입원 또는 수술 △3개월 내 의사의 입원·수술 등 검사소견 등 세 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서류제출 및 건강진단 없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보험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