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권 '단골 공약'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 3월 방송통신위원회와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는 통신요금 인하안을 마련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이 TF는 2개월간 논의해 휴대폰 이용자가 음성과 데이터, 문자 사용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요금제’ 등을 골자로 한 통신요금 인하안을 마련했다. 청소년·노인 전용 요금제를 내놓고, 단말기 출고가 조사 등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이 휴대폰 기본료 인하와 가입비 폐지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요금 인하안을 강력히 요구하며 당정협의를 거부하자 방통위는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다. 결국 방통위는 열흘 뒤 ‘휴대폰 기본료 1000원 인하, 문자메시지 월 50건 무료 제공’을 추가한 최종 인하안을 발표했다.
방통위는 한나라당이 요구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요금 인하 수준에 대해 산업적 측면과 통신업계의 투자 여력 등을 이유로 반대 의견을 고수했다. 기본료를 인하하면 후발사업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방통위가 일괄적인 기본료 인하 대신 데이터와 음성통화 정액요금제 사용자를 위한 모듈형 요금제 도입을 검토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통신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 보조금 규제 강화, 무선인터넷전화(mVoIP) 허용, 선불요금 이용자 비율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걸고 정책을 추진했다. 1996년 도입돼 약 20년간 유지됐던 이동통신 가입비는 2015년 전면 폐지됐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