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현직 대통령으로는 4년 만에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희생자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고 유가족을 부둥켜 안는 모습을 보였다.

검은색 정장에 검은색 타이를 맨 문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해 5·18 유공자 가족, 광주시민 등과 일일이 악수하며 환영을 받으며 기념식장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식순에 따라 애국가를 4절까지 부르고 기념사까지 마친 뒤 이후 진행된 추모행사를 지켜봤다.

1980년 5월 18일에 태어났지만 그날 아버지가 시위에 참여했다가 계엄군의 총탄을 맞고 숨진 탓에 아버지의 얼굴도 보지 못한 김소형(37) 씨는 추모글을 읽던 도중 감정에 북받친 듯 울음을 터뜨렸다.

객석에서 그 장면을 보던 문 대통령은 안경을 받고 손수건을 꺼내 흐르는 눈물을 닦았다.

김씨가 추모사를 마치고 무대 뒤로 퇴장하려고 하자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무대 위로 올라갔다.

김씨는 무대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직전에야 이를 알아챘고 문 대통령은 김씨를 안으면서 격려했다.

자리로 돌아온 문 대통령은 가수 전인권 씨가 추모곡으로 '상록수'를 부르자 이를 따라부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자신이 업무지시를 내려 제창할 수 있게 한 '님을 위한 행진곡'도 함께 불렀다.

자리에서 일어나 양쪽에 있던 정세균 국회의장과 '님을 위한 행진곡' 작곡가인 김종률 씨의 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면서 노래를 이어갔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오월의 죽음과 광주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며 세상에 알리려 했던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도 함께 기리고 싶다"는 말과 함께 희생자들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다.

문 대통령이 호명한 희생자는 82년에 광주교도소에서 단식하다 옥사한 전남대생 박관현 씨와 87년에 '광주사태 책임자 처벌'을 외치고 분신한 노동자 표정두 씨, 88년에 '광주학살 진상규명'을 외치며 명동성당에서 투신한 서울대생 조성만 씨, 같은 해 '광주는 살아있다'고 외치며 숭실대에서 분신한 숭실대생 박래전 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