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45조 소각' 삼성전자, 경영권 방어 문제 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하! 그렇군요
시가총액 328조 글로벌 기업
헤지펀드가 노리기엔 덩치 커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 일가 수준으로 지분 매입하는데 60조 필요해
시가총액 328조 글로벌 기업
헤지펀드가 노리기엔 덩치 커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 일가 수준으로 지분 매입하는데 60조 필요해
‘삼성전자가 앞으로 경영권을 제대로 방어할 수 있을까.’
삼성전자가 지난달 27일 45조원에 달하는 자사주 13.3%(우선주 포함)를 소각하기로 전격 결정한 후 삼성 안팎에서 제기되는 의문이다. 삼성은 이미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미국계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의 공격을 받고 고전한 경험이 있다.
삼성그룹과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당분간 경영권을 걱정할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는 적대적 M&A 위협을 받을 때 백기사(우호 세력)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살릴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일가와 삼성생명 등 삼성 계열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은 총 18.12%다. 여기에 자사주의 의결권 13.3%를 더하면 대략 31%의 주식을 확보할 수 있는 셈이다. 이사 및 감사의 해임, 영업의 양도 합병 등 주주총회 특별결의 안건(출석 주주의 3분의 2, 발행주식의 3분의 1 찬성)을 확실하게 방어할 수 있는 지분(33%)에 근접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삼성 관계자는 “45조원에 달하는 자사주를 사 줄 수 있는 우호적 파트너를 찾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백기사인 KCC에 매각한 자사주 5.76%의 매각 가격은 6743억원이었다. 이 정도 규모의 자사주를 파는 데도 적지 않은 고충이 있었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국내 대형 법무법인의 한 관계자는 “삼성과 같은 글로벌 일류 기업 경영권을 적대적으로 인수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는 현실적으로 생각하기 어려운 발상”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 일가와 비슷한 수준의 지분을 매입하는 데만 총 60조원이 든다. 지분 매입 경쟁이 알려지면 주식 매입 가격도 천정부지로 뛴다. 삼성전자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상황도 경영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다만 이 부회장 측이 경영권을 100% 행사하는 데는 제약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그룹 내부적으로도 주총 특별결의 안건을 통과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회사 실적이 나빠지고 주가가 하락하면 더 문제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의 한 대표는 “실적과 주가가 하락하면 해외 헤지펀드들이 다시 사업부 매각, 지주사 전환 등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와 같은 상장사는 0.5% 이상의 지분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주주에게 주주제안권, 회계장부 열람권 등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삼성 안팎에서는 삼성전자가 주식 소각이나 배당 확대 등 주주 가치 제고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우호 주주와 장기 투자자들을 묶어두기 위해서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대주주 지분율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있다. 발행주식 총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번 자사주 매각이 마무리되면 이 부회장 측의 삼성전자 지분율은 18.12%에서 20.78%로 상승한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삼성전자가 지난달 27일 45조원에 달하는 자사주 13.3%(우선주 포함)를 소각하기로 전격 결정한 후 삼성 안팎에서 제기되는 의문이다. 삼성은 이미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미국계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의 공격을 받고 고전한 경험이 있다.
삼성그룹과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당분간 경영권을 걱정할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는 적대적 M&A 위협을 받을 때 백기사(우호 세력)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살릴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일가와 삼성생명 등 삼성 계열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은 총 18.12%다. 여기에 자사주의 의결권 13.3%를 더하면 대략 31%의 주식을 확보할 수 있는 셈이다. 이사 및 감사의 해임, 영업의 양도 합병 등 주주총회 특별결의 안건(출석 주주의 3분의 2, 발행주식의 3분의 1 찬성)을 확실하게 방어할 수 있는 지분(33%)에 근접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삼성 관계자는 “45조원에 달하는 자사주를 사 줄 수 있는 우호적 파트너를 찾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백기사인 KCC에 매각한 자사주 5.76%의 매각 가격은 6743억원이었다. 이 정도 규모의 자사주를 파는 데도 적지 않은 고충이 있었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국내 대형 법무법인의 한 관계자는 “삼성과 같은 글로벌 일류 기업 경영권을 적대적으로 인수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는 현실적으로 생각하기 어려운 발상”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 일가와 비슷한 수준의 지분을 매입하는 데만 총 60조원이 든다. 지분 매입 경쟁이 알려지면 주식 매입 가격도 천정부지로 뛴다. 삼성전자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상황도 경영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다만 이 부회장 측이 경영권을 100% 행사하는 데는 제약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그룹 내부적으로도 주총 특별결의 안건을 통과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회사 실적이 나빠지고 주가가 하락하면 더 문제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의 한 대표는 “실적과 주가가 하락하면 해외 헤지펀드들이 다시 사업부 매각, 지주사 전환 등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와 같은 상장사는 0.5% 이상의 지분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주주에게 주주제안권, 회계장부 열람권 등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삼성 안팎에서는 삼성전자가 주식 소각이나 배당 확대 등 주주 가치 제고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우호 주주와 장기 투자자들을 묶어두기 위해서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대주주 지분율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있다. 발행주식 총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번 자사주 매각이 마무리되면 이 부회장 측의 삼성전자 지분율은 18.12%에서 20.78%로 상승한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