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새판짜기' 돌입
8일부터 계열사 사장 보고받고
물류·바이오·엔터 3대축 점검
올해 투자액만 5조원 달해
4년간 정체된 해외 M&A본격화
◆잃어버린 4년…해외 M&A로 만회하나
27일 재계에 따르면 신병 치료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던 이 회장은 최근 귀국해 복귀 준비에 들어갔다. 이 회장이 공식적으로 복귀하는 시점은 5월17일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은 수원 광교신도시에 지은 통합 연구개발센터 ‘CJ 블로썸파크’ 개관식 행사를 하는 날이다. 이 회장은 행사에 참석해 대내외적으로 공식적인 경영 복귀를 알릴 예정이다. 이에 앞서 이 회장은 5월8일께부터 각 계열사 사장단으로부터 보고를 받는다. 계열사 사장들은 ‘그레이트CJ’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이 회장에게 보고하고 계획을 점검할 예정이다.
CJ그룹의 지난해 매출은 약 31조원. 사상 처음 매출 30조원을 넘겼지만 3년 내 100조원까지 끌어올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그룹 전체의 해외 매출 비중도 30%가 안 된다. 이 회장은 공격적 투자와 글로벌 인수합병(M&A)을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만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최근 3년간 매년 2조원도 안된 투자 규모를 두 배 이상 늘렸다.
투자의 큰 축은 △바이오 △물류 △멀티플렉스다. CJ그룹에서 지난해 매출 1조원이 넘는 핵심 계열사 중 해외 매출 비중이 30%를 넘은 곳은 CJ제일제당(41.5%), CJ대한통운(31%), CJ CGV(32%) 세 곳뿐이다.
◆물류·바이오·영화관이 ‘세 개의 축’
CJ대한통운이 가장 적극적으로 M&A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중국 최대 물류기업 로킨과 스피덱스, 말레이시아 센추리로지스틱스 등의 지분을 인수한 데 이어 올해 인도 1위 물류업체 다슬(570억원), 아랍에미리트 물류기업 이브라콤(773억원) 경영권을 확보했다. 베트남 1위 물류회사 제마뎀과도 인수 협상 중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중국과 동남아, 중동 지역 등에서 물류 기반을 다지면서 다른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내고 있다”며 “2020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50% 이상으로 올려 글로벌 톱5 물류회사라는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은 해외 매출의 60% 이상을 올리고 있는 바이오와 생물자원에 집중할 계획이다. 올해 세계 1위 사료용 아미노산 트립토판을 생산하는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공장 증설에 340억원을 투입한다. 2위인 일본 아지노모토를 완전히 따돌리기 위한 전략이다. 이외에도 올 들어 베트남 냉동식품업체 까우재, 생선가공업체 민닷푸드 등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식품 부문 글로벌 전략도 새로 짰다.
CJ CGV는 중국과 베트남, 터키, 카타르 등에서 3D, 4DX 등 멀티플렉스 영화관 사업으로 수익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인프라 등 기반 시설 투자를 늘리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경기 곤지암 인근에 4000억원을 들여 메가 허브 터미널을 건설했다. 축구장 40개 면적과 맞먹는 아시아 최대 규모다. 전국 200여곳의 중소 터미널에 자동 화물 분류기를 설치하는 작업에도 1200억원을 투입한다. CJ 관계자는 “이 회장이 자리를 비운 기간에 공격적 투자를 하기 힘들었다”며 “다음달 경영 복귀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새 판 짜기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준/김보라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