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한국여행 금지 조치에도 "항공주 사라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이후 항공업의 주가가 떨어졌지만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오히려 이들 업종의 주식 비중을 늘리라고 조언하고 있다.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들은 매년 크게 늘고 있었지만 정작 국내 항공 상품을 구매하는 중국인들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 이후에도 항공 여객 수의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증권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6일 신영증권은 국내 항공주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조정했다.
이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국내 항공업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이후 나온 의견이여서 눈길을 끌었다. 지난 2일 중국 정부는 한국여행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할 것을 베이징의 주요 여행사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는 15일부터 한국행 관광상품 광고를 중단할 것도 주문했다고 알려졌다.
중국의 한국여행상품 규제 소식이 들려온 직후 항공주는 줄줄이 폭락했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뉴스가 전해진 직후인 지난 3일 대한항공은 4.77%, 아시아나항공은 6.41%, 제주항공은 5.03%, 한진칼의 주가는 4.83% 하락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중국의 한국여행 제한 조치 이후에도 항공업계의 매출 감소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엄 연구원은 "중국인 입국자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수혜를 본 것은 국내 항공사가 아닌 중국 항공사"라며 "중국인 입국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2013년부터인데 중국 항공사의 중국노선 점유율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인 입국자들의 항공 수요를 중국 항공사가 대부분 흡수했다는 것이 엄 연구원의 판단이다.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는 패키지 여행객의 수요를 급격히 줄여 중국 항공사의 근거리 수요를 단기간이 감소시키고 탑승률을 급격하게 떨어뜨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윤진 대신증권 연구원 또한 사드 보복 조치 이후 항공업종의 실적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봤다. 그는 "국내 항공업에서 중국인들의 직접 소비 비중 크지 않아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특히 국제선 여객 수요는 아웃바운드(내국인의 해외여행)를 위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일본인 입국자수가 늘면서 국내 항공사들의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엄 연구원은 "일본의 입국 수요가 지난해부터 서서히 증가하면서 3년만에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비행거리 대비 항공료 단가가 높은 일본 노선의 회복은 한국 항공사들의 수익성 측면에서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엄 연구원은 항공주의 비중을 확대하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영향이 미미한 만큼 한국 항공주의 비중을 확대하라"고 제안했다.
김 연구원 또한 "4월에 이달의 항공통계를 확인하면 국내 항공사들의 여객수가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항공통계가 나올 때 주가는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들은 매년 크게 늘고 있었지만 정작 국내 항공 상품을 구매하는 중국인들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 이후에도 항공 여객 수의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증권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6일 신영증권은 국내 항공주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조정했다.
이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국내 항공업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이후 나온 의견이여서 눈길을 끌었다. 지난 2일 중국 정부는 한국여행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할 것을 베이징의 주요 여행사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는 15일부터 한국행 관광상품 광고를 중단할 것도 주문했다고 알려졌다.
중국의 한국여행상품 규제 소식이 들려온 직후 항공주는 줄줄이 폭락했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뉴스가 전해진 직후인 지난 3일 대한항공은 4.77%, 아시아나항공은 6.41%, 제주항공은 5.03%, 한진칼의 주가는 4.83% 하락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중국의 한국여행 제한 조치 이후에도 항공업계의 매출 감소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엄 연구원은 "중국인 입국자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수혜를 본 것은 국내 항공사가 아닌 중국 항공사"라며 "중국인 입국자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2013년부터인데 중국 항공사의 중국노선 점유율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중국인 입국자들의 항공 수요를 중국 항공사가 대부분 흡수했다는 것이 엄 연구원의 판단이다.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는 패키지 여행객의 수요를 급격히 줄여 중국 항공사의 근거리 수요를 단기간이 감소시키고 탑승률을 급격하게 떨어뜨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윤진 대신증권 연구원 또한 사드 보복 조치 이후 항공업종의 실적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봤다. 그는 "국내 항공업에서 중국인들의 직접 소비 비중 크지 않아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특히 국제선 여객 수요는 아웃바운드(내국인의 해외여행)를 위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일본인 입국자수가 늘면서 국내 항공사들의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엄 연구원은 "일본의 입국 수요가 지난해부터 서서히 증가하면서 3년만에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비행거리 대비 항공료 단가가 높은 일본 노선의 회복은 한국 항공사들의 수익성 측면에서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엄 연구원은 항공주의 비중을 확대하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영향이 미미한 만큼 한국 항공주의 비중을 확대하라"고 제안했다.
김 연구원 또한 "4월에 이달의 항공통계를 확인하면 국내 항공사들의 여객수가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항공통계가 나올 때 주가는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