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북한이 한반도를 비롯한 세계에서 테러, 암살 등을 감행할 때마다 등장하는 조직 이름은 정찰총국이다. 이번 김정남 피살사건에도 정찰총국이 개입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 비밀조직의 정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15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북한 정찰총국을 비롯한 정보당국이 5년여 동안 김정남 암살 기회를 살피면서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전했다. 정찰총국은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 노동당 산하 작전부, 35호실 등 3개 기관 대남·해외 공작 업무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2009년 2월 출범했다. 통합 이전의 노동당 35호실은 1987년 대한항공(KAL)기 폭파 사건, 1996년 위장 간첩 정수일 사건 등을 기획했고, 인민무력부 정찰국은 1983년 미얀마(옛 버마) 아웅산 폭파 테러와 1996년 동해안 무장간첩 침투 사건 등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2009년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암살 기도,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사건, 같은해 11월 연평도 포격 등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며 대남 도발의 핵심으로 지목됐다.

대남 도발을 주도한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대장으로 진급한 뒤 2015년 8월 비무장지대에서의 목함지뢰 폭발 및 연천 포격 사건을 배후 조종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최근에는 정부 주요 인사의 스마트폰 해킹, 지리정보시스템(GPS) 교란 전파 발사 등 각종 사이버 공격을 실행하는 것으로 의심을 사고 있다. 정찰총국의 사회안정 교란 행위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벌어지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해 3월 이곳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정찰총국의 조직상 위치는 북한군 총참모부 산하지만,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게 직접 보고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런 구조 때문에 김정남 암살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김정은의 승인이나 동의를 거쳤을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김정남 암살 사건과 관련해 “최근 남자 2명, 여자 3명으로 구성된 국가보위성 해외 요원들이 신의주를 통해 출국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며 정찰총국이 아니라 국가보위성 요원들의 소행일 가능성을 언급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