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호황’을 맞은 반도체업계도 마찬가지다. 지난 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반도체장비 전시회 ‘세미콘코리아 2017’을 찾은 업체 대표들은 “올해도 잘 팔고 있다”며 연신 웃고 있었다. 업계에 돈이 돌자 반도체 장비가 연이어 팔려 나갔다.
반도체 시장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사방에서 쏟아지는 핑크빛 전망이 우려스러울 수밖에 없다. 1980~1990년대 수십개에 달했던 세계 반도체 업체들은 치열한 파워게임을 벌인 뒤 시장에서 대부분 퇴출됐다. 미국→일본→한국으로 반도체 업계 중심축이 이동한 것만 봐도 그렇다. 시장에서 살아남은 삼성전자는 한 분기에 5조원씩 돈을 쓸어담고 있지만 이 또한 영원하리란 보장이 없다.
30여년간 반도체 분야에서 일해 온 정칠희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장(사장)은 기자에게 “낸드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오랜 기간 낙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SK그룹 품으로 안기게 된 LG실트론의 변영삼 사장도 최근 기자와 만나 “반도체업계가 핑크빛 전망에 둘러싸인 게 우려스럽다”고 했다. 아울러 “SK그룹과의 시너지를 생각하기보단 실트론의 경쟁력을 갖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은 “작년에도 하반기에 시황이 살아날지 누가 예측했느냐”며 올 하반기 이후는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털어놨다.
중국은 올해만 370억달러를 메모리와 파운드리에 투자할 계획이다. 2년 후가 되면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19%를 중국이 차지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중국발(發) 공급 과잉으로 반도체값이 폭락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반도체는 타이밍이다. 잠시 주춤한 사이 반도체 주도권은 넘어갈 수 있다. SK로 인수되기 전까지 잃어버린 10년을 보낸 SK하이닉스는 지난 세월 제대로 된 투자를 하지 못한 걸 지금도 뼈아프게 생각한다. 일본 반도체 업체의 몰락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되새길 때다. 이젠 축배를 내려놓고 신발끈을 다시 매야 한다.
박재원 산업부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