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정부 대북정책, 제재 VS 대화 팽팽
김영란법 경제에 긍정적 38.2%, 부정적 25.4%


올해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국민이 76.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20대와 40대는 상대적으로 투표의사가 높은 반면 노년층은 약간 낮았다.

한국경제신문과 MBC의 제2차 공동 여론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76.9%를 차지했다. ’가능하면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12.3%, ’별로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4.6%, ’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3.5%를 각각 나타냈다. 결정을 못했다거나 응답하지 않은 비율은 2.7%였다. 투표를 하겠다는 의사를 가진 국민들이 89.2%에 달해 투표하지 않겠다는 층(8.1%)을 압도했다.

◆ 노년층 투표 의향 상대적으로 낮아

전 연령대에서 70~80%대의 투표의향을 보이고 있지만 세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나타났다. 연령별로 ’반드시 투표‘ 비율은 20대가 80.7%로 가장 높고 이어서 40대(80.4%), 50대(76.8%), 30대(76.1%) 순이었다. 60대이상은 71.6%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낮았다.

’가능하면 투표‘를 포함하면 20대는 96.0%가 투표의사를 나타냈고 30대 90.4%, 40대 91.3%, 50대 87.5%, 60대이상 82.7%로 각각 나타났다. 역시 20대가 가장 높고 40대, 30대, 50대 순이었다. 그동안 60대이상이 가장 높은 투표의사를 보인데 비해 올해는 젊은층이 가장 적극적인 투표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노년층은 뚜렷한 보수성향 후보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투표 참여에 대한 의사가 다소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별로 투표할 생각이 없다’와 ‘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를 묶은 비투표층도 60대 이상이 11.1%로 가장 높았다. 50대 10.1%, 30대 9.6%, 40대 6.5% 순으로 나타났으며 20대는 2.8%에 불과했다.

◆ 대북 강경책과 유화책 엇갈려

북한 핵 및 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기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강경론과 유화론이 팽팽히 엇갈렸다. ‘제재하면서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33.7%로 가장 많았지만 ‘지금과 같이 강력한 대북제재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는 응답도 30.0%를 보였다. ‘제재를 지속하되 인도주의적 지원이라도 해야 한다’는 응답(15.6%)과 ‘전면적인 대북유화 정책과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응답(12.8%)도 엇비슷했다.

‘강력한 제재’ 및 ‘제재하되 인도적 지원’을 강경책으로 묶고 ‘대화 병행’과 ‘전면적 유화정책’을 유화책으로 합쳐서 본다면 강경책이 45.6%, 유화책이 46.5%로 팽팽하게 엇갈렸다는 분석이다. 지난 1차 조사에서는 강경책이 35.1%, 대화를 통한 해결이 26.3%, ‘상황에 따른 탄력적 대응’이 35.5%였다.

◆ 김영란법 긍정 평가가 다소 높아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일명 김영란법)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38.2%는 ‘긍정적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부정적 영향을 줬다’는 응답은 25.4%, ‘특별한 영향이 없었다’는 28.2%로 각각 나타났다. 모르겠다거나 응답하지 않은 비율은 8.2%였다. 음식·숙박·화훼업종 등 일부 업종에서는 소비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공직자의 청렴도 향상을 통해 경제 전체로는 긍정적 영향을 주리라는 기대감을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 76.9%…20대와 40대가 가장 적극적
이념성향별로 보수층은 긍정적 영향(32.9%)과 부정적 영향(32.7%)의 응답비율이 비슷한 반면 진보와 중도층은 긍정적 영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진보층은 긍정적 영향(49.6%)이라는 응답이 부정적 영향(21.8%)을 압도했고 중도층도 긍정적(42.4%)이 부정적(25.3%)보다 높았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