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비박, 최후통첩…집단탈당 '임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의 추가 탈당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비박계 진영에서는 이제 탈당의 시점과 규모만 남았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탈당 시점은 성탄절 이후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조만간 판가름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첫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쥔 정우택 원내대표는 20일 기자간담회에서 "(비대위원장 후보를) 오늘 결정하지 못한다는 전제 아래 이틀 아니면 사흘 내에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비박계는 유승민 의원을 비대위원장에 추대하고 전권을 주지 않으면 집단 탈당하겠다는 방침을 최후 통첩한 상태다.
결국 유 의원의 비대위원장 선임이 좌절될 경우 탈당이 결행될 수 있는 셈이다.
비박계에선 두 차례에 걸친 단계적 탈당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1차 탈당은 원내 교섭단체(20석)를 구성하는 규모로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어 2차 탈당으로 국민의당(38석)보다 큰 현역 40여명의 원내 제3당을 구성, 사실상 분당(分黨) 규모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관건은 비박계를 이끄는 김무성·유승민 의원의 동반 탈당 여부다.
정치적 중량감이 있는 이들 두 의원이 손을 잡을 때의 '상승효과'가 크다고 비박계 의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탈당의 모습이 아니라 결국 지금 남아 있는 새누리당은 '공당'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는 분당이 맞다"라며 "그러려면 원내 교섭단체 정도는 반드시 이룰 수 있어야 하고, 유승민 의원이 함께 탈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김·유 의원이 각자의 길을 갈 경우 탈당의 폭발력이 예상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김 의원 혼자 탈당할 경우 '동반자'는 10명에도 못 미칠 것"이라며 "두 의원이 함께 탈당해도 실제 따라 나가는 의원으로 교섭단체 구성조차 어려우리라는 점을 알기 때문에 망설이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친박계가 이렇게 보는 근거는 영남권, 특히 보수 색채가 강한 대구·경북(TK)의 정서와 당원들의 반발이다.
지역구민이나 당원들이 탈당에 선뜻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는 데다, 지역 조직의 기반이 되는 지방자치단체장 및 자치의회 의원들의 의사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들도 고민거리다. 탈당하자니 1년도 채우지 못한 채 의원직을 상실하고, 남자니 친박계 의원들의 등쌀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탈당 시점은 성탄절 이후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조만간 판가름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첫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쥔 정우택 원내대표는 20일 기자간담회에서 "(비대위원장 후보를) 오늘 결정하지 못한다는 전제 아래 이틀 아니면 사흘 내에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비박계는 유승민 의원을 비대위원장에 추대하고 전권을 주지 않으면 집단 탈당하겠다는 방침을 최후 통첩한 상태다.
결국 유 의원의 비대위원장 선임이 좌절될 경우 탈당이 결행될 수 있는 셈이다.
비박계에선 두 차례에 걸친 단계적 탈당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1차 탈당은 원내 교섭단체(20석)를 구성하는 규모로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어 2차 탈당으로 국민의당(38석)보다 큰 현역 40여명의 원내 제3당을 구성, 사실상 분당(分黨) 규모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관건은 비박계를 이끄는 김무성·유승민 의원의 동반 탈당 여부다.
정치적 중량감이 있는 이들 두 의원이 손을 잡을 때의 '상승효과'가 크다고 비박계 의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탈당의 모습이 아니라 결국 지금 남아 있는 새누리당은 '공당'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는 분당이 맞다"라며 "그러려면 원내 교섭단체 정도는 반드시 이룰 수 있어야 하고, 유승민 의원이 함께 탈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김·유 의원이 각자의 길을 갈 경우 탈당의 폭발력이 예상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김 의원 혼자 탈당할 경우 '동반자'는 10명에도 못 미칠 것"이라며 "두 의원이 함께 탈당해도 실제 따라 나가는 의원으로 교섭단체 구성조차 어려우리라는 점을 알기 때문에 망설이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친박계가 이렇게 보는 근거는 영남권, 특히 보수 색채가 강한 대구·경북(TK)의 정서와 당원들의 반발이다.
지역구민이나 당원들이 탈당에 선뜻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는 데다, 지역 조직의 기반이 되는 지방자치단체장 및 자치의회 의원들의 의사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들도 고민거리다. 탈당하자니 1년도 채우지 못한 채 의원직을 상실하고, 남자니 친박계 의원들의 등쌀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