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클라우드 서비스 등
8대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육성
창의적인 인재들이 R&D를 하고 기술혁신이 이뤄지면 기술창업을 하거나 기술을 이전하는 등 기술사업화에 나서고 신산업을 창출하거나 기존 산업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미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부산시의 판단이다. 기업이 제대로 안착하면 다시 좋은 인재를 만들어내는 선순환 구조를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김병진 부산시 연구개발기획팀장은 “그동안 대학교나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이 개발되지만 최종적으로 상품화되기 어렵고, 상품화되더라도 성공하기 쉽지 않은 구조를 탈피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R&D 역량을 높여 일자리도 만들고 성장세를 지속하겠다는 것이 부산시의 목표다. 부산은 1970~1980년대 제조업과 수출의 중심지였으나 주력산업의 상실로 성장과 고용이 저하돼 성장 잠재력이 약해지고 있다. 주수현 부산발전연구원 경제고용연구실장은 “돈과 인재가 수도권으로 몰리는 데다 1980년대 성장억제 정책으로 대기업과 제조업체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 주요 생산동력원을 상실한 것이 추락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시는 우선 4대 전략을 마련했다. △과학도시 기반 도시혁신 체계 구축 △미래혁신기술 지속창출 △성과창출형 기술사업화 △미래성장산업 전략적 육성이다.
시는 우선 과학도시 기반의 도시혁신 체계 구축은 부산의 R&D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성과와 체계적인 계획은 제대로 수립되지 않는 점을 개선하기로 했다. 따라서 지역 R&D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부산과학기술진흥위원회를 지난해 9월 설치했다.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도 설립해 R&D의 성과를 높이고 과학기술 정책의 대안도 마련하고 있다. 중견 과학기술인과 창업 최고경영자(CEO), 인문·사회분야의 전문가를 선발해 지역 미래혁신 리더로 육성하고 나섰다.
미래혁신기술의 지속적인 창출은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를 대비하는 정책이 부족하다는 점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의류 신발 3D(3차원)프린팅, 스마트팩토리, 충돌방지코드, 크라우드펀딩,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도심형 리조트형 실버타운, 의류금융서비스 등 8대 미래 먹거리산업을 제시했다. 통일시대에 대비해 물류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연구소 신설도 준비하고 있다.
성과창출형 기술사업화는 일자리 증대효과가 큰 기술 기반 창업이 저조하고 융자 중심의 지원과 패자에게는 기회가 없는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기업가정신을 키우는 교육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창업공간도 확보하기로했다. 창업보육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연구단지도 확대하며 효율성을 높여나간다는 것이다.
미래 성장산업의 전략적 육성은 지속적인 전략산업 투자에도 신산업 창출은 잘 안 되고 있고, 중앙의존적 전략산업 선정 방식으로 낮은 지역기여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해양플랜트, 수산식품, 에너지, ICT·메카트로닉스, 문화콘텐츠, 의생명과학 클러스터 등 6대 미래전략산업 클러스터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김윤일 부산시 신성장산업국장은 “TNT 2030이 안착하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