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영향예보' 강화로 위험기상 대처한다
집중호우, 폭염, 태풍 등의 위험기상이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는 철(계절) 없이 나타나고 있다.

기상청은 보통 5~10월, 12~3월을 방재기간으로 지정해 방재기상업무에 집중한다. 여름철과 겨울철에 위험기상이 집중됐기 때문이다. 그럼 방재기간 외의 기간에는 위험기상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과거에는 대체로 그랬지만 근래 들어서는 그렇지 않다. 이제는 봄철 단골손님이 된 황사와 5월에 나타나는 이른 열대야(2014년 제주), 강수량이 평년보다 아주 적어 지역적 가뭄이 나타난 여름(2015년), 이틀이 멀다 하고 비가 내렸던 11월(2015년) 등이 그 예다.

기상청 방재기상업무의 핵심은 방재유관기관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한 협력과 선제적 기상정보 제공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이다. 기상청은 매년 상·하반기에 도시, 수문 등 여러 분야 관계 기관과의 방재기상업무 협의회를 통해 위험기상에 대처하기 위한 지원·협력을 하고 있다.

2015년 5월부터는 국가 차원의 재난관리 역량 강화 및 재난재해 공동대응 기반을 조성해 기상 자료를 활용하는 모든 관계기관에서 위험기상 감시 및 분석기술을 추가 비용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방식의 공유·활용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적 확산을 도모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511개 기관 1만9609명의 방재 관련 담당자가 이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의 미래 기후변화 모습은 장밋빛과는 거리가 있다. 기후변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태풍, 호우, 폭염 등 위험기상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산업구조가 복잡·고도화됨에 따라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 또한 커지고 있다. 미국은 국내총생산(GDP)의 23%, 캐나다는 25%, 태국은 56%가 날씨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인구 고령화 등 사회·경제 구조 변화에 따라 재해 취약계층은 점차 늘어 재해 위험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의 위험기상에서는 단순한 기상 예·특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내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복합·대형화되고 있는 기상재해와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해 기존의 기상학적 특보 기준이 아닌 사회·경제적 영향의 기준이 고려된 기상 예·특보 체계로의 전환 즉, ‘영향예보’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기상청은 앞으로의 날씨로 인해 예상되는 영향까지 표현하도록 설계한 한층 진보된 예보인 영향예보를 준비 중에 있다. 영향예보는 재해와 취약성을 모두 고려해 위험노출까지 예측하는 진보된 예보다. 기상청은 영향예보 실현을 위해 해양, 강수, 비강수, 환경 등 4개 분야 전문예보관제와 예·특보 체계 개편의 기반 마련을 위해 올해부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연이 고약한 심술을 부리고 있다. 한반도의 기후변화 경향이 전 지구 평균보다도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에게 들이닥칠 기상기후 변화에 대비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년 365일 국민의 안전과 기상재해 경감을 위해 늘 소통해야 하는 이유다.

고윤화 < 기상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