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포털이 데이터 기반 서비스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완제품 격의 콘텐츠를 선보이던 기존 방식이 아닌 그간 축적해온 사회·경제·생활성 데이터 `원석`을 공개하기 시작한 것인데요.정보 개방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데이터 서비스의 허브로 자리잡으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신선미 기자입니다.<기자>이제 일반인도 네이버가 지난 10년 간 축적한 다양한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네이버가 데이터랩 서비스를 통해 자신들의 `데이터 곳간`을 이용자들에게 공개하면서입니다.데이터랩은 성별·연령별·주제별로 네이버가 측정한 검색 데이터나 주요 트렌드, 공공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줍니다.미디어 종사자나 개인 사업자들은 데이터랩의 정보를 자유롭게 분석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고, 앱 서비스를 만드는 등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앞서 세계적 검색업체 구글 또한 `구글 트렌드`로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확장해왔습니다.하루 수천억개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의 검색 빅데이터를 분석해 건강, 뉴스, 경제, 스포츠, 오락 등 다양한 트렌드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줍니다.특정 키워드별, 국가별, 성별과 연령별로 관심사를 볼 수 있어 컴퓨터 앞에서 세계 곳곳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사용자의 독감 검색어 빈도와 독감 환자 분포 등을 분석해 ‘구글 독감 동향’이라는 독감 예측 정보를 제공한 것이 대표적입니다.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보다 2주 정도 일찍 독감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정확도와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구글 트렌드를 보면 내년 미국 대선 당선자도 알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입니다포털들이 빅데이터의 원재료인 로우 데이터(Raw Data, 원시데이터)를 공개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내놓는데 관심을 두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현재 트렌드를 정확하게 짚어내고 미래를 예측하는 서비스까지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데이터를 가공한 결과물이 아닌 데이터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개인이나 사업자가 늘어나는 배경입니다.데이터에 접근한 새로운 시각을 가진 콘텐츠를 재생산하면 부가가치를 누릴 수도 있습니다.이른바 데이터저널리즘이 주목받는 이유입니다.국내 한국언론진흥재단도 60개 언론사의 20년 치 뉴스DB를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접목시켜 유의미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포털 서비스를 오는 3월 선보입니다.포털의 데이터와 데이터저널리즘이 함께 맞물리면서 향후 데이터 서비스 산업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신선미기자 ss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라디오스타 이엘 ‘노출과 섹시함’의 위대함...폴댄스 카리스마?ㆍ렛미인 박소담, ‘때묻지 않는 배우’ 누구나 스타가 될 수 있다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ㆍ[카드뉴스] `유령도시`를 살린 미국의 시계회사 이야기ㆍ치주염, 구취 막는데 이 방법이 최고ⓒ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