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는 영화의 일부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2003년 2월 18일 오전 9시 53분. 대구에서 192명의 사망자와 148 명의 부상자를 낸 최악의 지하철 화재 사고가 있었다. 영화 `로봇, 소리`는 이 아픈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한 아버지의 이야기를 소재로 삼았다. 영화는 1990년 어느 날 해관(이성민 분)과 어린 딸 유주(채수빈)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어렸을 때 그 누구보다 애틋했던 부녀의 관계는 시간이 흐르면서 갈등 관계로 변한다. 이들의 갈등 상황이 고조됐을 때 해관은 유주를 잃어버렸고, 해관은 실종된 딸을 찾아 10년간 전국 각지를 돌아다닌다. 매번 딸찾기에 실패해 낙담한 해관 앞에 인공 지능 로봇이 나타난다. 해관은 목소리만으로 핸드폰을 추적하고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로봇을 통해 딸을 찾을 수 있다는 한 줄기 희망을 발견한다. 로봇 역시 해관과 마찬가지로 아픔을 가지고 있다. 딸을 찾을 수 있는 실낱같은 희망을 갖게 된 해관은 로봇에게 자신의 딸을 찾아주면, 로봇의 아픔도 치유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약속했다.로봇은 해관에게 딸 유주의 목소리를 들려주며 딸을 잃은 아비와 여정을 함께 한다. 어느샌가 로봇에게 친밀감을 느낀 해관은 로봇에게 `소리`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소통한다. `소리`와의 소통을 통해 해관은 자신이 몰랐던 딸의 이야기를 찾게 된다. 해관은 실종된 딸의 발자취를 쫓으며 그간 아버지인 자신이 몰랐던 딸의 모습과 대면하면서 느끼는 허탈함과 서글픔 그리고 고통을 느낀다. 해관은 `소리`와 교감하며 딸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덜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다. 이 영화는 억지 눈물을 강요하지는 않는다. 억지로 짜내지 않아도 해관의 발자취를 따라가면 어느새 눈시울이 젖어있다. 이성민의 자연스러운 연기 덕분에 이 말도 안되는 판타지가 현실로 다가온다. 이희준, 이하늬의 열연도 돋보인다. 각각 국정원 요원과 항공우주연구원 박사 역으로 등장한 이들은 적재적소에서 웃음과 재미를 준다. 로봇의 목소리를 더빙한 심은경은 후반부로 갈수록 미세한 감정 변화를 보여줬다. 이 덕분에 이성민과 `소리`가 교감하는 부분도 전혀 어색함 없이 이어진다. 후반부에 국정원 직원의 손에 끌려가며 해관을 바라보는 `소리`의 눈은 기계의 그것이 아니었다. 목소리 만으로 로봇에 감정을 불어넣은 심은경이 실로 대단한 이유다. 다만 아쉬운 점은 `대구 지하철 참사` `부정(父情)`, `인공지능로봇`이라는 다양한 소재를 한데 버무리려다 보니 놓치는 부분과 튀는 부분이 생긴다. 영화에서 인공지능로봇 `소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두고 미국의 요원들과 국정원이 경쟁을 벌이는 장면은 딸을 찾아 나선 애절한 부정에 젖어 있던 관객들의 몰입도에 방해가 된다 .`소리`의 마지막 뒷모습은 그가 무엇을 하러가는지, 과연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해관의 응원 하에 그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해관의 딸, 유주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살아 있을 때 딸의 꿈을 응원해주지 못했던 아버지는 딸을 매개체로 교감했던 `소리`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결국 영화는 가족들, 그리고 소중한 사람에게 지금 당장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이호재 감독이 영화의 소재를 `대구 지하철 참사`로 삼은 것은 따뜻한 말 한마디와 시선이 나와 내 가족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 시대와 사회로 번져가길 바라서 일 것이다. 가족간의 대화가 단절돼가고 각종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도 `소리`라는 로봇이 있다면, 과연 우리는 누굴 찾을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곰곰이 하게 되는 영화다.
MAXIM 장소윤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코레일 설날 기차표 예매 시작하자마자 매진 속출
ㆍ보보경심:려 이준기 아이유 "시간이 멈춘 듯한 동안"
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
ㆍ아들 시신 훼손 `충격과 분노`..."반성은 없었네"
ㆍ치주염, 구취 막는데 이 방법이 최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