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2월 금리 인상 조건 충족 예상" FOMC회의에서 다수 위원 의견 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진한 글로벌경제 악영향·성급한 금리인상 우려 위원은 소수 그쳐
'매파' 연은행장들 잇따라 금리인상 필요성 강조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결정권자 중 다수가 오는 12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정당화할 만큼의 경제 여건이 조성될 것이란 의견을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Fed는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록을 공개했다.
이 회의록에 따르면 "다수의 참가자(FOMC 위원)는 고용시장과 물가 조건이 다음 회의(12월 정례회의) 때까지 대체로 충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비해 "12월 회의 시점까지 발표될 정보만으로는 12월에 연방기금금리 목표치(기준금리)를 올리는 일을 뒷받침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FOMC 위원은 일부에 그쳤다.
중앙은행은 지난달 정례회의 종료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0∼0.2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9월 회의 때 담았던 "최근 있었던 전 세계 경제와 금융 상황이 경제 활동에 어느 정도 제약을 가했고, 단기적으로는 물가에 추가적인 하향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을 지난달 성명에서는 제외했다.
대신 "다음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치의 인상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지난달 성명을 통해 밝혔다.
세계 경제가 미국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회의록에는 "대부분의 참가자(FOMC 위원)는 해외에서 발생하는 경제·금융 상황의 부정적인 영향이 사라져 왔다"는 내용이 수록됐다. 해외에서의 (미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요인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판단한 FOMC 위원은 두어 명에 그쳤다.
미국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FOMC 내부에서 이런 기류가 형성돼 있는 상황은 만약 지난 10월의 새 일자리 증가량 같이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가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경제지표들이 다음 달 상반기까지 계속 발표된다면, 7년 간 이어져 온 '제로 금리'가 다음 달에 끝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달 Fed는 "다음(12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치의 인상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통화정책 결정문에 담았다. 이날 발표된 회의록을 보면 '다음 회의'라는 문구를 성명에 담는 과정에서도 FOMC 위원들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지만, 결국 대부분이 이 문구를 성명에 넣는 일을 찬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회의'라는 문구 때문에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를 너무 강하게 만드는 쪽으로 잘못 해석될 수 있다고 우려한 사람은 두 명이었다고 회의록은 기술했다.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량 이외에도 이달에는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풀이되는 경제 지표들이 계속 발표됐다. 대표적인 지표가 전날 발표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다. 지난달에는 전체 CPI는 물론, 에너지와 식품 부문을 제외한 근원CPI도 나란히 0.2%의 상승률을 보였다.
기준금리 인상을 뒷받침할 여건들이 잇따라 조성되면서 통제 불가능한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빨리 올려야 한다는 '매파' 인물들이 잇따라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나섰다.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파리) 테러가 경제에 미칠 지정학적 충격은 일시적"이라거나 "고용시장에서 지연요인(slack)은 보이지 않는다"며 금리 인상 요건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래커 은행장은 FOMC 의결권을 가진 정위원 가운데 지난 9월과 10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반대한 사람이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장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강연회에 참석해 질의응답을 하면서 "경제 여건이 중대하게 악화되지 않는다면, 나는 곧 (미국 기준금리가) 제로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안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12월에 기준금리가 0.5%로 오를 확률은 이날 67.8%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초 집계된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사이에 머물렀다.
올해의 마지막 FOMC 정례회의는 다음 달 15일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매파' 연은행장들 잇따라 금리인상 필요성 강조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결정권자 중 다수가 오는 12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정당화할 만큼의 경제 여건이 조성될 것이란 의견을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Fed는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록을 공개했다.
이 회의록에 따르면 "다수의 참가자(FOMC 위원)는 고용시장과 물가 조건이 다음 회의(12월 정례회의) 때까지 대체로 충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비해 "12월 회의 시점까지 발표될 정보만으로는 12월에 연방기금금리 목표치(기준금리)를 올리는 일을 뒷받침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FOMC 위원은 일부에 그쳤다.
중앙은행은 지난달 정례회의 종료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0∼0.2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9월 회의 때 담았던 "최근 있었던 전 세계 경제와 금융 상황이 경제 활동에 어느 정도 제약을 가했고, 단기적으로는 물가에 추가적인 하향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을 지난달 성명에서는 제외했다.
대신 "다음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치의 인상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지난달 성명을 통해 밝혔다.
세계 경제가 미국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회의록에는 "대부분의 참가자(FOMC 위원)는 해외에서 발생하는 경제·금융 상황의 부정적인 영향이 사라져 왔다"는 내용이 수록됐다. 해외에서의 (미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요인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판단한 FOMC 위원은 두어 명에 그쳤다.
미국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FOMC 내부에서 이런 기류가 형성돼 있는 상황은 만약 지난 10월의 새 일자리 증가량 같이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가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경제지표들이 다음 달 상반기까지 계속 발표된다면, 7년 간 이어져 온 '제로 금리'가 다음 달에 끝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난달 Fed는 "다음(12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치의 인상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통화정책 결정문에 담았다. 이날 발표된 회의록을 보면 '다음 회의'라는 문구를 성명에 담는 과정에서도 FOMC 위원들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지만, 결국 대부분이 이 문구를 성명에 넣는 일을 찬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회의'라는 문구 때문에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를 너무 강하게 만드는 쪽으로 잘못 해석될 수 있다고 우려한 사람은 두 명이었다고 회의록은 기술했다.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량 이외에도 이달에는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풀이되는 경제 지표들이 계속 발표됐다. 대표적인 지표가 전날 발표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다. 지난달에는 전체 CPI는 물론, 에너지와 식품 부문을 제외한 근원CPI도 나란히 0.2%의 상승률을 보였다.
기준금리 인상을 뒷받침할 여건들이 잇따라 조성되면서 통제 불가능한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빨리 올려야 한다는 '매파' 인물들이 잇따라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나섰다.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파리) 테러가 경제에 미칠 지정학적 충격은 일시적"이라거나 "고용시장에서 지연요인(slack)은 보이지 않는다"며 금리 인상 요건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래커 은행장은 FOMC 의결권을 가진 정위원 가운데 지난 9월과 10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반대한 사람이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장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강연회에 참석해 질의응답을 하면서 "경제 여건이 중대하게 악화되지 않는다면, 나는 곧 (미국 기준금리가) 제로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안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12월에 기준금리가 0.5%로 오를 확률은 이날 67.8%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초 집계된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사이에 머물렀다.
올해의 마지막 FOMC 정례회의는 다음 달 15일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