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국내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20% 늘어날 때 1인당 직원 급여는 그 갑절이 넘는 46%나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26.6%)과 1인당 실질 GDP 증가율(31.6%), 고용노동계 전 산업의



1인당 평균 급여 증가폭(32.7%)보다 13%p 이상 높은 수치로 이에 따라 시총 100대 기업과



전 산업 1인당 연간 평균 급여 차이는 10년 전 1,87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3,130만원으로 배 가까이 벌어졌다.



기업별로는 카카오, CJ, 대우인터내셔널, 삼성전자, 기아차 등이 급여 증가율 `톱5`에 랭크됐다.



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시가총액 100대 기업 중



2005년에서 2014년의 급여·실적 비교가 가능한 72개 기업을 대상으로 1인당 평균 급여를 조사한 결과



2005년 4,760만원에서 2014년 6,960만원으로 46.3%나 급증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39조7,029억 원에서 47조7,764억 원으로 20.3% 증가하는 데 그쳤고



영업이익률은 10.4%에서 6.0%로 4.3%p 하락해 수익성이 나빠졌다.



같은 기간 고용노동계 전 산업 1인당 평균 급여는 2,890만원에서 3,830만원으로 32.7% 늘었다.



시총 100대 기업과 고용노동계 전 산업의 1인당 급여 차이는 2005년 1,870만원에서 작년 3,130만원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100대 기업 급여가 2,200만원 오르는 사이에 고용노동계 전 산업 평균 상승폭은 940만원에 그쳤기 때문이다.



또한 100대 기업의 급여 증가율은 GDP(31.6%)와 소비자물가지수(26.6%) 등의 경제 지표 증가율보다 크게 웃돌았다.



카카오는 2014년 직원 1인당 평균 급여가 1억7,500만원으로 2005년보다 무려 341.6%나 폭증했다.



2013년 5,140만원에 불과하던 급여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지난해 다음-카카오 합병 이후 급여 및 상여금, 주식 매수 선택권 이익 등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CJ는 203.1%의 높은 증가율로 2위에 올랐고 대우인터내셔널(104.6%), 삼성전자(101.2%)도 100% 이상 증가했다.



이 밖에 하나금융지주(59.7%), 현대제철(58.0%), 롯데칠성음료(57.2%), 롯데제과(56.8%), KCC(56.6%), LG(55.8%),



LG디스플레이(55.6%), LG화학(55.3%), 한화(54.4%), S-OIL(54.1%), 신한금융지주회사(52.9%), 동서(50.9%),



강원랜드(50.5%) 등이 5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급여 증가율이 고용노동계 전 산업 평균치 이하이거나 되레 떨어진 곳은 28곳으로 집계됐다.



KT는 32.7%로 고용노동계 증가율과 같았고 코웨이(32.6%), KT&G(32.0%), 호텔신라(31.8%), 에스원(30.9%)은 30%를 넘겼지만



고용노동계 평균에는 미치지 않았다.



대림산업·동부화재해상보험(29.5%), 포스코(29.0%), 현대백화점(28.6%), LG생활건강(27.2%), 현대건설(25.9%),



한국투자금융지주(24.3%), 현대산업개발(24.0%), 중소기업은행(21.4%), LG전자(21.0%)는 20%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크루셜스타♥헤이즈 열애, 새삼스럽게 왜…`2년 전에 말했는데?`
ㆍ원세훈 前 국정원장, 보석으로 풀려나…재판과정보니
ㆍ 홍진영, "연예인들, 먹어도 안찌는 이유" 폭로
ㆍ`마을` 문근영, 육성재 매력에 풍덩…이런게 누나 마음?
ㆍ조인성, 스타일리스트에 차 선물…얼마나 벌길래? "억 소리 나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