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의호 한국대학랭킹포럼 대표(포스텍 교수·사진)는 5일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발표된 영국 타임스고등교육(THE) 세계대학평가 결과는 충격적”이라며 “한국 대학들의 부진은 평가 방법과 기준이 달라진 게 직접적 원인”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순위 추락을 국내 대학의 경쟁력 저하 때문으로 보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THE 평가보다 불과 2주 전 발표된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근거로 들었다. 실제로 QS 평가에선 서울대 36위, KAIST 43위, 포스텍 87위 등 국내 대학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THE 평가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서 대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이달 2일까지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THE 월드랭킹 서밋(summit)’에 참석했다. 바뀐 평가 방식의 의미와 영향력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인물이다. 서 대표는 국내 대학들의 THE 평가 순위가 추락한 핵심요인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각국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한 평판조사의 지역별 비중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THE는 이번에 미국·유럽의 평판조사 비중을 기존 70%에서 50%로 줄이고 아시아를 33%까지 늘렸다. 아시아 비중을 높여 도움이 될 것 같았지만 현실은 반대로 나타났다. 중국 교수들이 조사에 대거 참여해 자국 대학을 선택한 영향으로 오히려 한국 대학들 순위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서 대표는 “주관적으로 어느 대학이 좋은지 묻는 평판조사엔 맹점이 있다. 조사 참여 교수들이 소속 대학을 꼽고 경쟁 대학은 일부러 뽑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대학들 순위 하락에 중국발 영향이 컸다는 건 이런 맥락이다.
연구력 관련 지표인 논문 인용도(citation) 보정작업이 대폭 축소된 것도 악재였다. 예를 들어 비영어권 연구자는 영어로 논문을 발표하면 영미권 연구자에 비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같은 몇몇 맹점 때문에 논문 인용도에선 ‘국가별 정교화(country normalization)’ 명목의 점수 보정작업이 이뤄졌는데, 올해 평가부터 크게 축소됨에 따라 국내 대학들이 타격을 입었다.
서 대표는 평판조사의 보완책으로 “조사 참여자가 자신의 소속 대학은 택하지 못하게 하고 순위 1~100위, 101~200위 등 다른 구간에 속한 대학이 서로 교차평가 하는 식이 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THE 평가담당자도 그의 의견에 좋은 아이디어란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전체 평가 점수의 33%에 달하는 비중 역시 낮출 필요성이 있다고 꼬집었다. 서 대표는 “평판도 비중이 지나치게 높으면 평가 자체의 객관성에 문제가 생긴다”면서 “평판조사 비중을 지금보다 낮추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적정 수준은 20% 정도로 본다”고 덧붙였다.
[한국 대학들, 세계평가 순위에서 추락한 까닭은?] ["나도 치킨집이나"…열기도 쉽고 닫기도 쉬운 '치킨집'] [소심한 셀카족 저격한 'LG V10'…스펙보다 눈에 띄는 '가격'] [인터넷전문은행 3파전 경쟁으로…예비인가 속속 신청] [폭스바겐코리아 리콜 대상 잠정집계 보니…티구안 파사트 골프 순]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