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수 농협 축산경제 대표 "5년간 신규 축산농 5100개 키우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연내 유통자금 1000억 투입
창업 돕고 축산단지 조성…총 1조3000억 지원 목표
축산농가 경쟁력 키우려면 상속공제한도 늘려야
연내 유통자금 1000억 투입
창업 돕고 축산단지 조성…총 1조3000억 지원 목표
축산농가 경쟁력 키우려면 상속공제한도 늘려야
농협이 2020년까지 6000억원의 자체 자금을 투입해 축산농가 5100가구를 신규로 육성한다. 우선 올해 말까지 1000억원을 집행하고 내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매년 유통자금 1000억원씩을 축산농가에 지원할 방침이다. 추가로 정부 지원 약 7000억원을 끌어내 총 1조3000억원을 축산농가 사업에 투입하는 게 농협의 목표다.
이기수 농협 축산경제 대표는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축산농가 감소추세가 이대로 지속되면 한국의 축산업 기반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지고 말 것”이라며 “지금이 축산업 기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2조9000억원 생산유발 효과
1995년 100만가구였던 국내 축산농가 수는 지난해 12만9000가구로 감소했다. 20년 만에 10가구 중 9가구 가까이가 사라진 것이다. 축산농가의 노화 또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축산농가의 고령화율(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44.3%로 전국 평균(12.2%)보다 3.6배 더 높다. 후계농도 찾기 힘들다. 지난해 기준 국내 한우농가의 후계농 확보 비율은 9.8%에 불과했다.
이 대표는 “고령화와 폐업으로 급감하고 있는 축산농가를 되살리기 위해선 후계농을 육성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올 연말까지 농협 유통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신규 축산농가에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축산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축산 여건이 좋은 지역에 단지를 조성해 기존 농가가 이전하거나 젊은이들이 축산업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축산 귀농이나 후계농을 위한 종합상담센터도 운영하고 폐업을 앞둔 축산농가를 인수하면 자금 융자도 해준다.
이 대표는 축산농가 5100가구가 새롭게 만들어지면 축산물 생산액이 연 1조3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산업까지 합하면 연간 생산액은 2조9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다. 이 대표는 늘어난 축산농가에서 창출되는 고용효과가 4만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대출금리 낮춰야
그동안 미국 유럽 호주 등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한 축산농가의 자진폐업이 많았다. 막대한 시설 투자비와 종자 구입비 등 다른 농가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축산농가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 정책도 농가 고령화를 초래한 한 원인이라는 게 이 대표의 지적이다.
이 대표는 우선 축산인 상속공제한도를 대폭 높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축산 역시 다른 농업 상속과 마찬가지로 상속공제한도가 5억원에 불과하다”며 “하지만 축산은 다른 농업과 달리 축사 등 시설이 많고 투자비가 많이 들어 중소기업에 준하는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상속공제한도는 500억원이다.
축산 정책자금의 금리 인하 필요성도 거론했다. 과거 연 3%였던 축산 정책자금 금리를 정부가 지난해 일부에 한해 연 2%대 후반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높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금리를 연 1%대로 낮춰야 후계농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원기/심성미 기자 wonkis@hankyung.com
이기수 농협 축산경제 대표는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축산농가 감소추세가 이대로 지속되면 한국의 축산업 기반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지고 말 것”이라며 “지금이 축산업 기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2조9000억원 생산유발 효과
1995년 100만가구였던 국내 축산농가 수는 지난해 12만9000가구로 감소했다. 20년 만에 10가구 중 9가구 가까이가 사라진 것이다. 축산농가의 노화 또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축산농가의 고령화율(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44.3%로 전국 평균(12.2%)보다 3.6배 더 높다. 후계농도 찾기 힘들다. 지난해 기준 국내 한우농가의 후계농 확보 비율은 9.8%에 불과했다.
이 대표는 “고령화와 폐업으로 급감하고 있는 축산농가를 되살리기 위해선 후계농을 육성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올 연말까지 농협 유통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신규 축산농가에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축산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축산 여건이 좋은 지역에 단지를 조성해 기존 농가가 이전하거나 젊은이들이 축산업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축산 귀농이나 후계농을 위한 종합상담센터도 운영하고 폐업을 앞둔 축산농가를 인수하면 자금 융자도 해준다.
이 대표는 축산농가 5100가구가 새롭게 만들어지면 축산물 생산액이 연 1조3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산업까지 합하면 연간 생산액은 2조9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다. 이 대표는 늘어난 축산농가에서 창출되는 고용효과가 4만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대출금리 낮춰야
그동안 미국 유럽 호주 등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한 축산농가의 자진폐업이 많았다. 막대한 시설 투자비와 종자 구입비 등 다른 농가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축산농가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 정책도 농가 고령화를 초래한 한 원인이라는 게 이 대표의 지적이다.
이 대표는 우선 축산인 상속공제한도를 대폭 높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축산 역시 다른 농업 상속과 마찬가지로 상속공제한도가 5억원에 불과하다”며 “하지만 축산은 다른 농업과 달리 축사 등 시설이 많고 투자비가 많이 들어 중소기업에 준하는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상속공제한도는 500억원이다.
축산 정책자금의 금리 인하 필요성도 거론했다. 과거 연 3%였던 축산 정책자금 금리를 정부가 지난해 일부에 한해 연 2%대 후반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높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금리를 연 1%대로 낮춰야 후계농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원기/심성미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