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일 대장정 마친 창조경제센터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22일 문을 열면서 지난해 9월 대구를 시작으로 이어진 전국 17개 혁신센터 구축 대장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8대 특별·광역시와 9개도에 한 곳씩 자리잡은 혁신센터는 각 지역 특성에 맞춰 전담 대기업을 두고 지원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게 특징이다. 민·관 협력으로 특화산업 육성 및 벤처 창업 지원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삼성) 대전·세종(SK) 부산(롯데) 경남(두산) 인천(한진) 경기(KT) 광주(현대자동차) 전북(효성) 전남(GS) 충북(LG) 충남(한화) 강원(네이버) 서울(CJ) 울산(현대중공업) 제주(다음카카오) 등 ‘짝짓기’가 이뤄졌다.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혁신센터 출범 후 10개월간 운영 실적 자료를 통해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창업·중소기업 지원 활동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혁신센터의 보육 지원을 받는 7년 미만 창업 기업 수는 총 250개로 지난 1월(45개)보다 5배 이상 늘었다. 전담 대기업이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상품 개발과 판로 확보, 해외 진출을 도운 사례도 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 지원 57건 △자금 지원 9건(116억2500만원) △판로 지원 75건 등이다. 혁신센터 입주 기업의 총 매출은 171억4000만원, 이들이 벤처캐피털 등으로부터 유치한 투자액도 299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혁신센터의 미래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도 없지 않다. 국가미래연구원이 최근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혁신센터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6.7%에 불과했다. 시장 원리가 아닌 정치 공학에 따라 시·도별로 한 곳씩 설립되다 보니 각 혁신센터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이석준 미래부 1차관은 “똑같은 기관과 기구를 만들어놔도 사람이 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아무래도 수도권에 비해 지방 여건이 열악하다 보니 인적 자원이나 창업 열기 등에서 온도 차가 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도권의 열기를 지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정책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