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Estate] 안산 상록구·인천 서구·김포가 집값 상승 주도…수도권 외곽의 재발견
상반기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대구, 부산, 포항 등 영남권이었다. 수도권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 안산 상록구, 인천 서구, 경기 김포 등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곳들이다.

○수도권은 외곽이 상승 주도

[Real Estate] 안산 상록구·인천 서구·김포가 집값 상승 주도…수도권 외곽의 재발견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안산 상록구 아파트값은 작년 연말 대비 5.73%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그 뒤를 인천 서구(5.42%), 김포(5.03%) 등이 이었다. 경기 광명(4.52%), 인천 연수구(4.13%), 안산 단원구(4.21%) 등도 4%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평균(2.2%)은 물론 강남구(2.92%) 서초구(2.73%) 송파구(1.53%) 등의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2000년대 초·중반 강남 서초 송파 등 서울 강남권이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것과는 크게 다른 패턴이다.

경기 안산·김포 등 서울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먼 지역 아파트값이 많이 오르는 것은 무엇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때문이라고 현지 중개업소들은 설명한다. 전세난에 지친 실수요자와 전셋값에 밀려 매매가격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 투자자들이 우선적으로 저렴한 아파트를 사들인 결과라는 것이다.

안동건 부동산차트연구소 대표는 “최근 수도권 집값이 반등하는 주요인은 전셋값 상승”이라며 “서울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하고 수도권으로 밀려난 이들이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지역의 중소형 아파트를 많이 샀다”고 말했다.

전셋값 상승률이 높은 곳도 서울 강남권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전셋값 수준이 낮은 곳들이다. 서울 강동지역 재건축 이주 수요가 몰린 하남이 8.38%로 가장 많이 올랐다. 임대아파트가 많은 강서구가 7.7%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성북구(6.84%), 경기 안산 상록구(6.83%), 고양시 덕양구(6.64%), 구리(6.65%), 서울 강동구(6.54%)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능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2만38가구)이 작년의 45% 수준에 불과해 가을 성수기에 전세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방에선 영남권이 선두 주자

상반기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대구였다. 상승률 상위 지역 10곳 중 7곳이 수성구 등 대구의 기초자치단체가 차지했다. 또 상승률 상위 30곳 중 절반이 대구와 부산, 포항 등 영남권에 몰려 있다.

이에 따라 대구 수성구는 지방에서 처음으로 3.3㎡당 아파트 매매가격이 1000만원을 넘었다.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도 3.3㎡당 1000만원에 바짝 다가섰다.
[Real Estate] 안산 상록구·인천 서구·김포가 집값 상승 주도…수도권 외곽의 재발견
상승률 1위는 대구 수성구(9.51%)였다. 전국 평균(2.43%)의 네 배에 가까운 상승률이다. 경신고 등 명문 고등학교가 많아 대구의 8학군으로 불리는 곳이다.

3.3㎡당 아파트 매매가격은 1038만원으로, 지방에서 처음 1000만원대를 뛰어넘었다. 아파트 단지별로는 3.3㎡당 2000만원을 돌파한 곳도 있다고 현지 중개업소들은 전한다. 이 같은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부산 수영구(968만원)와 해운대구(945만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거품 논란이 불거지는 이유다.

그뒤를 대구 동구(7.68%), 대구 서구(6.16%), 대구 달서구(5.78%)가 이었다. 상승률 1~4위가 모두 대구 지역이었다.

대구와 부산, 포항 등 영남지역은 상승률 상위 30곳의 절반을 휩쓸었다. 대구와 접한 경북 경산(4.85%)이 12위를 차지했다. 포스코가 자리한 포항의 북구(4.69%)는 13위였다. 부산의 강남으로 통하는 해운대구(3.9%)도 20위를 기록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영남권 아파트가 과열됐다고 진단한다.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에 거품이 형성됐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영남권 집값의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쏟아지고 있어 집값이 조정 국면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대구를 예로 들면 올해 1만3899가구, 내년 2만6780가구, 2017년 1만6960가구 등 향후 3년간 평균 2만가구 정도가 집들이를 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멸실 가구 수 증가 등을 감안한 대구의 적정 입주 규모는 1만3000여가구”라며 “현 시점에서 투자 목적으로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