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뛰는 '코끼리 경제'…인도, 모디노믹스 타고 세계경제 엔진으로
‘모디노믹스(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경제정책)’를 발판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경제가 주목받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인도의 경제성장률(7.5%)이 16년 만에 중국(6.8%)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도 지난달 인도를 찾아 “구름 낀 세계 경제 지평선에서 빛이 비치는 곳이 인도”라며 “세계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에서 더디게 벗어나는 중이지만 인도 경제는 예외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호평했다. 현재 경제규모 세계 8위인 인도가 2030년엔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외국인 직접투자 급증

지난해 5월 모디 총리 취임 후 인도는 각종 친기업 및 규제 완화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그 결과 각종 경제지표가 몰라보게 달라졌다. 지난해 2분기 6.5%였던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8.2%, 7.5% 성장했다. 인도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올 2월 기준 11억7600만달러(약 1조2700억원)로 지난해 5월에 비해 66%가량 늘었다. 물가도 안정됐다. 인도 도매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초만 해도 7.52%였지만 모디 정부가 들어선 후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 말 0%대를 기록했다. 5년 반 만의 최저치였다. 인도 뭄바이증시 센섹스지수는 모디 총리 취임 후 17% 올랐다.

긍정적인 외부 평가도 이어지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지난 9일 인도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꿨다. 현재 등급(Baa3)을 곧 더 높은 등급으로 조정하겠다는 의미다. ‘Baa2’ 또는 ‘Baa1’ 등급으로 상향 조정되면 인도는 역대 최고의 신용등급을 받는 것이다. 미국 농무부는 지난 10일 발표한 ‘2030년 세계 경제력 예측 보고서’에서 인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해 2030년에는 미국 중국에 이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에서 만들라’ 기업 유치 안간힘

모디 총리는 취임 직후부터 “민주주의, 노동력, 수요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곳은 세계에서 인도밖에 없다”며 기업 친화적인 국가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애썼다. 지난해 9월 모디 정부가 발표한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인도에서 만들라)’ 정책이 대표적이다. 잠재력 있는 25개 제조업 분야를 선정해 분야별 규제 완화 등 육성 대책을 마련했다. 국내총생산(GDP)의 15%인 제조업 비중을 5년 내 25%로 끌어올리고 매년 12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궁극적으로 인도를 중국을 대체할 세계 제조업 기지로 키우겠다는 것이 모디 정부의 계획이다.

모디 정부는 경제 영역에서 국가 개입을 축소하는 정책도 내놨다. 지난 3월 모디 정부는 40여년간 국영기업 ‘콜인디아’가 독점해왔던 석탄 판매권을 민간에 개방했다. 광물 채굴권을 주 정부가 추천한 뒤 중앙 정부가 배정하는 방식에서 경매 방식으로 바꿨다. 절차를 투명하게 해 공정한 기업 활동을 정착시키겠다는 취지다.

예측 불가능한 조세체계가 문제

하지만 인도 경제를 장밋빛으로만 내다볼 수 없다는 반론도 있다. 예측 불가능한 조세 체계가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꼽힌다. 아룬 자이틀레이 인도 재무장관은 지난 15일 해외 펀드 자금에 최저한세(MAT)를 소급 적용해 매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MAT는 사업소득이 있는 기업이라면 최소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지만 그간 해외 펀드 자금에는 과세되지 않았다. 자이틀레이 재무장관은 외국 기관투자가에 부과할 MAT가 4000억루피(약 6조9800억원) 정도라고 말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변덕스러운 조세 제도가 인도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빠르게 바뀌고 있지만 아직은 열악한 기업 경영 환경도 문제다. 지난해 말 세계은행이 한 기업환경평가에서 인도는 평가대상 189개국 가운데 142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세금 제도, 투자자 보호 정도, 전력 공급 상황 등에서 나쁜 평가를 받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