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반도체 뛰어드는 중국] 중국, 2010년부터 반도체 육성 초점…향후 10년간 175조원 쏟아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은 2010년부터 반도체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설정하고 집중 육성했다. PC와 TV 등 완성품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했지만, 핵심 부품은 여전히 외국산 제품에 의존하는 구조를 타개하기 위해서다.
중국 정부는 2010년 제11차 5개년(2011~2015년)계획을 수립할 때, 이 기간의 핵심 산업 정책으로 ‘7대 전략적 신흥산업’을 선정해 발표했다. 당시 반도체 산업은 신형 평판디스플레이,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등과 더불어 정보기술(IT) 분야의 핵심 육성 산업으로 채택됐다. 이후 중국 반도체 업체들은 일부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특히 팹리스(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팹리스 시장에서 7.0%(2013년 기준)의 점유율로 미국(68.0%)과 대만(17.2%)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중국은 그러나 반도체 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관련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2013년 반도체 수입액이 2313억달러로, 원유를 제치고 단일 품목 중 최대를 기록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작년 7월 ‘국가 반도체산업 발전 추진 요강’을 발표했다. 2015년까지 반도체 산업 발전 체제 혁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2020년까지 중국 반도체 산업을 첨단 수준으로 제고하겠다는 것이 이 계획의 목표였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 발전을 추진할 별도 조직인 ‘국가 반도체산업 발전 영도 소조’를 신설했다.
중국 정부는 작년 10월에는 반도체 산업 육성에 집중 투자하는 ‘반도체 산업 지원 펀드’를 1200억위안(약 21조원) 규모로 조성했다. 반도체 산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위험 부담이 큰 만큼 정부가 산업 육성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부담하겠다는 취지였다. 중국 정부는 이 펀드를 포함해 향후 10년 동안 반도체 산업 육성에 1조위안(약 175조4000억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펀드 조성 이후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이 펀드를 활용해 중국 기업들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 진출을 간접 지원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
특히 팹리스(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팹리스 시장에서 7.0%(2013년 기준)의 점유율로 미국(68.0%)과 대만(17.2%)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중국은 그러나 반도체 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관련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2013년 반도체 수입액이 2313억달러로, 원유를 제치고 단일 품목 중 최대를 기록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작년 7월 ‘국가 반도체산업 발전 추진 요강’을 발표했다. 2015년까지 반도체 산업 발전 체제 혁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2020년까지 중국 반도체 산업을 첨단 수준으로 제고하겠다는 것이 이 계획의 목표였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 발전을 추진할 별도 조직인 ‘국가 반도체산업 발전 영도 소조’를 신설했다.
중국 정부는 작년 10월에는 반도체 산업 육성에 집중 투자하는 ‘반도체 산업 지원 펀드’를 1200억위안(약 21조원) 규모로 조성했다. 반도체 산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위험 부담이 큰 만큼 정부가 산업 육성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부담하겠다는 취지였다. 중국 정부는 이 펀드를 포함해 향후 10년 동안 반도체 산업 육성에 1조위안(약 175조4000억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펀드 조성 이후 세계 반도체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이 펀드를 활용해 중국 기업들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 진출을 간접 지원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