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시기 6월~9월서 내년 말까지로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Fed내 매파·비둘기파, 의견 격차 더 벌어졌다
지난달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통화정책 정상화(기준금리 인상)에 인내심을 발휘한다”는 선제적 지침(가이던스)을 삭제하는 데 동의했다. 하지만 이후 각종 콘퍼런스를 통해 나온 위원들의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발언은 제각각이었다.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은행 총재는 31일(현지시간) 경제전문채널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경제지표가 당초 전망에서 상당히 멀어지지 않는 한 오는 6월 FOMC 회의에서 금리 인상 주장이 강하게 제기될 것”이라고 조기 인상론을 다시 꺼내 들었다.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미뤄야 할 것이라는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의 지난달 25일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래커 총재는 올해 표결권을 갖는 FOMC 위원 중 물가안정을 중시하는 ‘매파’ 성향이 가장 강한 인물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4일에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미국의 제로금리는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며 “서둘러 금리 인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도 성향의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는 “올해 중반 이후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경기 안정을 강조하는 ‘비둘기파’ 성향의 FOMC 위원들은 인상 시기를 내년 상반기까지 미뤄야 한다며 정반대 주장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에번스 총재다. 그는 지난달 25일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에 다가설 때까지 긴축정책을 서둘러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FOMC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정도로 경기회복 전망이 불안정한 만큼 인상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당신이 통화 당국자라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많은 것을 할 필요가 없다”며 금리 인상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답변을 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기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등 경기지표와 기업 실적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1분기 성장률이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0%대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2분기 성장률마저 부진이 이어질 경우 금리 인상이 내년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밥 자뉴아 노무라증권 전략가는 “소비가 회복되지 않으면 디플레이션 역풍을 막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Fed)이 추가 양적 완화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이라며 4차 양적 완화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은행 총재는 31일(현지시간) 경제전문채널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경제지표가 당초 전망에서 상당히 멀어지지 않는 한 오는 6월 FOMC 회의에서 금리 인상 주장이 강하게 제기될 것”이라고 조기 인상론을 다시 꺼내 들었다.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미뤄야 할 것이라는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의 지난달 25일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래커 총재는 올해 표결권을 갖는 FOMC 위원 중 물가안정을 중시하는 ‘매파’ 성향이 가장 강한 인물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4일에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미국의 제로금리는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며 “서둘러 금리 인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도 성향의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는 “올해 중반 이후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경기 안정을 강조하는 ‘비둘기파’ 성향의 FOMC 위원들은 인상 시기를 내년 상반기까지 미뤄야 한다며 정반대 주장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에번스 총재다. 그는 지난달 25일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에 다가설 때까지 긴축정책을 서둘러야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FOMC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정도로 경기회복 전망이 불안정한 만큼 인상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당신이 통화 당국자라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많은 것을 할 필요가 없다”며 금리 인상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답변을 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기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등 경기지표와 기업 실적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1분기 성장률이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0%대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2분기 성장률마저 부진이 이어질 경우 금리 인상이 내년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밥 자뉴아 노무라증권 전략가는 “소비가 회복되지 않으면 디플레이션 역풍을 막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Fed)이 추가 양적 완화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이라며 4차 양적 완화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