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험·중수익에 절세까지 가능한 상품은
연초 담배 가격 인상으로 흡연자들 사이에 논란이 뜨겁다. 정부는 가격을 높여 금연 인구 확산과 세수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심산이다.

2013년 귀속분부터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이 기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줄었다. 거치식보험 비과세 한도는 2억원으로 제한됐다. 연말정산을 위한 소득공제 혜택도 일부 세액공제로 바뀌었다. ‘13월의 월급’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세제 혜택이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예측한 한국의 2014년 경제성장률은 3.5%였다. 세계 경제성장률 평균 예상치 3.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한국은 더 이상 고성장 국가가 아니다.

정부가 저성장 국면에서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 이론적으로 경기침체 국면에서는 세금을 덜 걷어 가처분소득을 늘려주는 게 맞다. 하지만 경기부양을 위한 확대재정과 복지 예산 확대는 감세를 어렵게 했다.

국채 발행을 통해 재정 지출을 충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채는 미래 세대에 빚을 전가하는 것이다. 출산율 저하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국채 발행은 미래 세대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균형 재정을 위해서도 증세는 불가피하다.

국내 이자소득세율은 15.4%다. 네덜란드 독일 스위스 등 이른바 복지 선진국의 이자소득세율은 50%를 넘는다. 정부가 복지재정 지출을 확대한다면 결국 금융소득에 대한 세금 부담을 늘릴 수밖에 없다.

금융소득에 대한 미래 세금 부담을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거액 자산가라면 미래에 중도 인출과 추가 납입이 자유로운 비과세 상품을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지난해 투자 트렌드는 중위험·중수익이었다. 올해도 이런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위험·중수익 투자와 세제 혜택을 결합한 상품을 활용해 보자. 대표적인 상품이 지수형 주가연계증권(ELS) 변액보험과 분리과세 하이일드채권 등이다.

국내 주식형 펀드도 여전히 유효하다. 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다. 다만 주가지수보다는 가치주나 배당주 중심의 펀드로 중장기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이상훈 < KB국민은행 잠실롯데PB센터 PB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