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인테리어] 서울형 R&D사업, 9년간 1415개 과제 지원…특허 2000여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형 연구개발 사업
공장형 식물재배·레이저 광원 등 혁신기술 개발
SCI급 논문 2961편…200억원어치 기술 이전
시민 복지 향상에 초점…적정예산 확보 시급
서울시·서울산업진흥원 공동 운영
공장형 식물재배·레이저 광원 등 혁신기술 개발
SCI급 논문 2961편…200억원어치 기술 이전
시민 복지 향상에 초점…적정예산 확보 시급
서울시·서울산업진흥원 공동 운영
#1. 융복합 정보기술(IT) 솔루션을 개발하는 솔트웨어는 공장형 식물재배 시스템을 개발했다. 식물 재배의 계획과 관리, 특성 분석을 통한 전자 메뉴얼 등 식물재배를 위한 최적의 환경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낸 것이다. 관련 특허를 여러가지 등록했고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에도 시스템을 수출했다.
#2. 2008년 서울 상암 DMC에 들어선 러시아 사이언스 서울(RSS)은 차세대 레이저 가공기술인 ‘산업용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레이저 광원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러시아 연방 국립광학연구소 등 5개 러시아 연구기관과 한국전기연구원, 가톨릭대 등 국내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해 이룬 성과다. 이 기술은 정밀가공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LED(발광다이오드) 인쇄회로기판(PCB) 바이오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RSS는 이 기술을 국내 기업인 한빛레이저에 8억원을 받고 매각한 후 상용화를 돕고 있다.
◆2005년부터 9년간 1415개 과제 지원
이런 성과는 이들 기업과 기관이 ‘서울형 연구개발(R&D) 사업’에 참여해 이룬 것이다. 서울시와 서울시 중소기업 지원기관인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운영 중인 ‘서울형 R&D 사업’은 국내 지방자치단체 최초의 지역 맞춤형 R&D 지원사업이다. 2005년 시작됐다. 중소기업과 지역, 대학의 혁신적 기술을 지원한다. 2005년부터 작년까지 9년간 1415개 과제를 지원했고, 서울 소재 1148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했다.
이 사업을 통해 작년 말 기준으로 수준 높은(SCI급) 논문 2961편이 나왔고 특허 출원 및 등록도 2372건이나 됐다. 연구 성과를 활용한 기술 이전은 702건으로, 금액으로는 201억원에 달한다. SBA에 따르면 국가R&D 사업과 비교해 1억원 지원당 SCI급 논문은 4.29배, 특허 출원은 3.1배, 특허 등록은 4.29배에 달하는 높은 성과를 냈다. ◆지역·시민 삶 개선에 초첨
‘서울형 R&D 사업’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중소기업 육성이 첫 번째 목표다. 중소기업 제품의 상용화와 특허기술의 상품화, 지역 특화산업의 고도화 및 이전기술 사업화 등을 지원한다.
지역 특화산업은 최근 더 중시되는 분위기다. 특정 산업군이 집적된 지역을 기반으로 산학 및 기업 간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을 돕는 R&D를 넘어 지역과 시민의 삶을 바꾼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올해는 지역문제 해결과 시민복지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원천기술 개발에 치중했던 기존 R&D 사업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다.
R&D가 궁극적으로 시민의 행복 증진과 연결돼야 한다고 보고 지역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을 우선 지원한다. 또 지식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 보급확산 비용도 지원한다. 또 대학과 지역사회 간 협력 지원사업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 시민복지 증진,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산·학·연 네트워크 활동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R&D 예산 감소는 우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관련 예산 확보에는 애를 먹고 있다. 서울시의 R&D 예산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R&D 예산은 2009년 638억원에서 2010년 576억원, 2011년 433억원, 2012년 249억원, 2013년 179억원으로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다. 반면 국가 R&D 예산은 2009년 12조4150억원에서 작년 16조9140억원으로 늘었고, 중소기업청의 R&D 예산 역시 2009년 4870억원에서 2013년 8587억원으로 증가했다.
서울형 R&D 사업 관계자는 “기업, 기술, 시민을 아우르는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제품, 사업, 시장, 일자리를 창출하고 서울 경제 활성화와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더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서는 적정 예산을 확보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2. 2008년 서울 상암 DMC에 들어선 러시아 사이언스 서울(RSS)은 차세대 레이저 가공기술인 ‘산업용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레이저 광원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러시아 연방 국립광학연구소 등 5개 러시아 연구기관과 한국전기연구원, 가톨릭대 등 국내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해 이룬 성과다. 이 기술은 정밀가공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LED(발광다이오드) 인쇄회로기판(PCB) 바이오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RSS는 이 기술을 국내 기업인 한빛레이저에 8억원을 받고 매각한 후 상용화를 돕고 있다.
◆2005년부터 9년간 1415개 과제 지원
이런 성과는 이들 기업과 기관이 ‘서울형 연구개발(R&D) 사업’에 참여해 이룬 것이다. 서울시와 서울시 중소기업 지원기관인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운영 중인 ‘서울형 R&D 사업’은 국내 지방자치단체 최초의 지역 맞춤형 R&D 지원사업이다. 2005년 시작됐다. 중소기업과 지역, 대학의 혁신적 기술을 지원한다. 2005년부터 작년까지 9년간 1415개 과제를 지원했고, 서울 소재 1148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했다.
이 사업을 통해 작년 말 기준으로 수준 높은(SCI급) 논문 2961편이 나왔고 특허 출원 및 등록도 2372건이나 됐다. 연구 성과를 활용한 기술 이전은 702건으로, 금액으로는 201억원에 달한다. SBA에 따르면 국가R&D 사업과 비교해 1억원 지원당 SCI급 논문은 4.29배, 특허 출원은 3.1배, 특허 등록은 4.29배에 달하는 높은 성과를 냈다. ◆지역·시민 삶 개선에 초첨
‘서울형 R&D 사업’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중소기업 육성이 첫 번째 목표다. 중소기업 제품의 상용화와 특허기술의 상품화, 지역 특화산업의 고도화 및 이전기술 사업화 등을 지원한다.
지역 특화산업은 최근 더 중시되는 분위기다. 특정 산업군이 집적된 지역을 기반으로 산학 및 기업 간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을 돕는 R&D를 넘어 지역과 시민의 삶을 바꾼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올해는 지역문제 해결과 시민복지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원천기술 개발에 치중했던 기존 R&D 사업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다.
R&D가 궁극적으로 시민의 행복 증진과 연결돼야 한다고 보고 지역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을 우선 지원한다. 또 지식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 보급확산 비용도 지원한다. 또 대학과 지역사회 간 협력 지원사업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 시민복지 증진,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산·학·연 네트워크 활동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R&D 예산 감소는 우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관련 예산 확보에는 애를 먹고 있다. 서울시의 R&D 예산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R&D 예산은 2009년 638억원에서 2010년 576억원, 2011년 433억원, 2012년 249억원, 2013년 179억원으로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다. 반면 국가 R&D 예산은 2009년 12조4150억원에서 작년 16조9140억원으로 늘었고, 중소기업청의 R&D 예산 역시 2009년 4870억원에서 2013년 8587억원으로 증가했다.
서울형 R&D 사업 관계자는 “기업, 기술, 시민을 아우르는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제품, 사업, 시장, 일자리를 창출하고 서울 경제 활성화와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더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서는 적정 예산을 확보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