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형지, M&A '자금 부담'…유니클로 '중저가 시장 공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新중견기업 열전 (1) 패션그룹형지
재무구조 뜯어보니 외화내빈 우려 커져
재무구조 뜯어보니 외화내빈 우려 커져
형지의 ‘얼굴’격인 패션그룹형지의 2009년 매출은 2639억원이었다. 당시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62억원에 달했다. EBITDA는 영업을 통해 돈을 벌어들이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4년이 흐른 지난해 패션그룹형지의 매출은 4047억원으로 53% 불어났다. 그러나 EBITDA는 226억원으로 38%나 쪼그라들었다. 실속없이 외형만 커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자금이 들어가는 인수합병(M&A)은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작년에만 동대문 바우하우스 빌딩을 사느라 777억원을 썼고, 인천 송도에 제2 본사 부지를 구입하느라 100억원가량을 투입했다. 그러다 보니 2009년 116억원이던 순차입금은 지난해 2199억원으로 4년 만에 19배나 불었다. 올 상반기에 270억원을 줄이긴 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1312억원)과 유동성장기부채(200억원)가 전체 빚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빚의 ‘질’도 나빠졌다.
현금흐름 역시 좋지 못하다. 지난해 패션그룹형지의 순영업활동현금흐름(NCF)은 -610억원. NCF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나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자금사정이 나빠지자 패션그룹형지는 지분 100% 보유한 ‘유일주주’인 최병오 회장에게 매년 지급해온 배당금을 작년에는 주지 않았다.
강수호 상무는 “가을·겨울 옷 생산량을 대폭 줄이고 재고를 처분해 올해 1000억원 안팎의 단기차입금을 감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 유니클로 H&M 자라 등 해외 제조·직매형 의류(SPA·패스트패션) 브랜드들이 형지가 움켜쥐고 있는 ‘중저가 옷 시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유니클로 한국판매법인인 FRL코리아의 지난 회계연도(2012년 9월~2013년 8월) 매출은 6940억원으로 1년 전(5049억원)보다 37% 늘었지만, 패션그룹형지는 4150억원에서 4047억원으로 뒷걸음질쳤다.
신사업도 쉽게 풀리지 않고 있다. 2011년 아웃도어 브랜드인 ‘노스케이프’와 ‘와일드로즈’를 내놓았지만 노스페이스 K2 등의 벽을 넘기엔 역부족이다. 신규 진출한 유통업 역시 롯데 신세계 현대 이랜드 등 ‘유통공룡’들과 맞붙어야 한다는 게 부담이다.
따라서 일부 재무전문가들은 보다 적극적인 ‘빚 갚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유휴자산을 매각하거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적투자자를 끌어들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며 “패션그룹형지와 샤트렌을 상장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동혁/오상헌 기자 otto83@hankyung.com
이런 상황에서 많은 자금이 들어가는 인수합병(M&A)은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작년에만 동대문 바우하우스 빌딩을 사느라 777억원을 썼고, 인천 송도에 제2 본사 부지를 구입하느라 100억원가량을 투입했다. 그러다 보니 2009년 116억원이던 순차입금은 지난해 2199억원으로 4년 만에 19배나 불었다. 올 상반기에 270억원을 줄이긴 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1312억원)과 유동성장기부채(200억원)가 전체 빚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빚의 ‘질’도 나빠졌다.
현금흐름 역시 좋지 못하다. 지난해 패션그룹형지의 순영업활동현금흐름(NCF)은 -610억원. NCF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나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자금사정이 나빠지자 패션그룹형지는 지분 100% 보유한 ‘유일주주’인 최병오 회장에게 매년 지급해온 배당금을 작년에는 주지 않았다.
강수호 상무는 “가을·겨울 옷 생산량을 대폭 줄이고 재고를 처분해 올해 1000억원 안팎의 단기차입금을 감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걱정하고 있다. 유니클로 H&M 자라 등 해외 제조·직매형 의류(SPA·패스트패션) 브랜드들이 형지가 움켜쥐고 있는 ‘중저가 옷 시장’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유니클로 한국판매법인인 FRL코리아의 지난 회계연도(2012년 9월~2013년 8월) 매출은 6940억원으로 1년 전(5049억원)보다 37% 늘었지만, 패션그룹형지는 4150억원에서 4047억원으로 뒷걸음질쳤다.
신사업도 쉽게 풀리지 않고 있다. 2011년 아웃도어 브랜드인 ‘노스케이프’와 ‘와일드로즈’를 내놓았지만 노스페이스 K2 등의 벽을 넘기엔 역부족이다. 신규 진출한 유통업 역시 롯데 신세계 현대 이랜드 등 ‘유통공룡’들과 맞붙어야 한다는 게 부담이다.
따라서 일부 재무전문가들은 보다 적극적인 ‘빚 갚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유휴자산을 매각하거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적투자자를 끌어들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며 “패션그룹형지와 샤트렌을 상장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동혁/오상헌 기자 otto8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