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리는 한·미·일 頂上 주가] 돈 풀고 금리 낮춘 '오바마의 2000일'…美 주가 142% 끌어올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공황 후 클린턴·루스벨트 이어 3위
"共和 하원 장악, 재정적자 감소 덕분"
아베는 50%↑…집무실에 증시 전광판
공적연금 주식투자 비중 확대 추진도
"共和 하원 장악, 재정적자 감소 덕분"
아베는 50%↑…집무실에 증시 전광판
공적연금 주식투자 비중 확대 추진도
지난 12일은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지 2000일 되는 날이다. 이 기간 미국 증시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두 배 이상 오르며 여러 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본 증시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집권한 지난 1년6개월 동안 50%에 가까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5년 내 3000’을 목표로 내세웠던 한국의 코스피지수는 0.78% 하락했다.
○역대 美 대통령 중 주가성적 3위
“우리(미국)는 내가 처음 대통령에 취임했을 당시에 비해 거의 모든 지표에서 더 나아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0일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방문 연설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사실일까. 적어도 주가를 놓고 보면 그의 말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1월2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2000일 동안 미국 30개 대기업 주가를 나타내는 다우존스지수는 113.15% 올랐다. 오바마 행정부 2기가 시작된 지난해 1월21일부터 따져도 23.57% 상승했다.
미국의 금융시장 전문 뉴스사이트인 마켓워치는 다우존스지수와 S&P500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등 뉴욕 증시 3대 지수의 상승률을 평균 낸 결과 2000일 동안 미국 주가는 142.1% 상승했다고 전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미국에서 2000일 넘게 집권한 대통령은 총 8명. 이 중 오바마 대통령은 집권 이후 2000일간의 주가 상승률에서 빌 클린턴(175.6%)과 프랭클린 루스벨트(166.6%) 대통령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로널드 레이건(88.3%), 드와이트 아이젠하워(70.5%), 해리 트루먼(44.8%) 대통령 순으로 주가가 올랐다. 조지 W 부시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첫 2000일 동안 각각 8.9%, 17.2% 주가가 하락했다.
민주당과 공화당 대통령을 비교하면 민주당 집권 시 132.3%, 공화당 집권 시 33.2% 주가가 올랐다. 샘 스토벌 S&P캐피털IQ 주식 전략가는 “주식시장의 움직임에 행정부가 큰 역할을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보통 공화당보다는 민주당 집권기에 주가가 더 오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과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각각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공황으로 주가가 바닥인 상태에서 집권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지난 2000일간 미국 주가가 오른 건 미국 중앙은행(Fed)의 제로금리(연 0~0.25%)와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 정책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게 중론이다. 오바마 대통령 취임 당시 7.8%였던 실업률은 같은 해 10월 10.0%까지 상승했다가 Fed의 전례 없는 경기부양 노력으로 지난달 6.1%로 하락했다. Fed 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통화정책은 행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오히려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해 행정부를 견제하면서 미국의 재정적자가 줄어든 것이 주가 상승에 도움이 됐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주가, 아베노믹스 성공의 열쇠”
일본 도쿄에 있는 아베 총리 공관. 그 안의 총리 집무실에는 주가와 환율 흐름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전광판이 있다. 아베 총리 집무실뿐만이 아니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격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의 방에도 같은 전광판이 설치돼 있다. 아베 정부가 증시에 얼마나 신경을 쓰고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일본의 닛케이225지수는 2012년 12월26일(10,230.36) 아베 총리 취임 이후 1년6개월 동안(14일 기준) 49.50% 상승했다. 지난해 12월30일엔 지수가 16,291.31까지 치솟아 취임 후 상승률이 60%에 육박했다. 일본은행의 양적 완화정책 영향으로 엔저 추세가 이어지면서 기업 실적이 대폭 개선된 덕분이다. 엔화가치는 달러당 101엔대로 아베 취임 뒤 20% 가까이 하락했다.
올 들어 닛케이225지수가 6.1% 하락하는 등 주춤한 모습을 보이자 아베 정부는 주가 움직임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역대 정권에서 주가와 내각 지지율이 밀접한 관계를 보인 데다 주가는 아베노믹스 성공의 ‘열쇠’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아베 정부는 세계 최대 연기금인 공적연금(GPIF)의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이고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의 투자 한도와 대상 확대를 추진하는 등 직접적인 주가 부양에도 나서고 있다.
뉴욕=유창재/도쿄=서정환 특파원 yoocool@hankyung.com
“우리(미국)는 내가 처음 대통령에 취임했을 당시에 비해 거의 모든 지표에서 더 나아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0일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방문 연설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사실일까. 적어도 주가를 놓고 보면 그의 말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1월20일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2000일 동안 미국 30개 대기업 주가를 나타내는 다우존스지수는 113.15% 올랐다. 오바마 행정부 2기가 시작된 지난해 1월21일부터 따져도 23.57% 상승했다.
미국의 금융시장 전문 뉴스사이트인 마켓워치는 다우존스지수와 S&P500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등 뉴욕 증시 3대 지수의 상승률을 평균 낸 결과 2000일 동안 미국 주가는 142.1% 상승했다고 전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미국에서 2000일 넘게 집권한 대통령은 총 8명. 이 중 오바마 대통령은 집권 이후 2000일간의 주가 상승률에서 빌 클린턴(175.6%)과 프랭클린 루스벨트(166.6%) 대통령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로널드 레이건(88.3%), 드와이트 아이젠하워(70.5%), 해리 트루먼(44.8%) 대통령 순으로 주가가 올랐다. 조지 W 부시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첫 2000일 동안 각각 8.9%, 17.2% 주가가 하락했다.
민주당과 공화당 대통령을 비교하면 민주당 집권 시 132.3%, 공화당 집권 시 33.2% 주가가 올랐다. 샘 스토벌 S&P캐피털IQ 주식 전략가는 “주식시장의 움직임에 행정부가 큰 역할을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보통 공화당보다는 민주당 집권기에 주가가 더 오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과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각각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공황으로 주가가 바닥인 상태에서 집권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지난 2000일간 미국 주가가 오른 건 미국 중앙은행(Fed)의 제로금리(연 0~0.25%)와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 정책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게 중론이다. 오바마 대통령 취임 당시 7.8%였던 실업률은 같은 해 10월 10.0%까지 상승했다가 Fed의 전례 없는 경기부양 노력으로 지난달 6.1%로 하락했다. Fed 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통화정책은 행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오히려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해 행정부를 견제하면서 미국의 재정적자가 줄어든 것이 주가 상승에 도움이 됐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주가, 아베노믹스 성공의 열쇠”
일본 도쿄에 있는 아베 총리 공관. 그 안의 총리 집무실에는 주가와 환율 흐름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전광판이 있다. 아베 총리 집무실뿐만이 아니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격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의 방에도 같은 전광판이 설치돼 있다. 아베 정부가 증시에 얼마나 신경을 쓰고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일본의 닛케이225지수는 2012년 12월26일(10,230.36) 아베 총리 취임 이후 1년6개월 동안(14일 기준) 49.50% 상승했다. 지난해 12월30일엔 지수가 16,291.31까지 치솟아 취임 후 상승률이 60%에 육박했다. 일본은행의 양적 완화정책 영향으로 엔저 추세가 이어지면서 기업 실적이 대폭 개선된 덕분이다. 엔화가치는 달러당 101엔대로 아베 취임 뒤 20% 가까이 하락했다.
올 들어 닛케이225지수가 6.1% 하락하는 등 주춤한 모습을 보이자 아베 정부는 주가 움직임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역대 정권에서 주가와 내각 지지율이 밀접한 관계를 보인 데다 주가는 아베노믹스 성공의 ‘열쇠’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아베 정부는 세계 최대 연기금인 공적연금(GPIF)의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이고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의 투자 한도와 대상 확대를 추진하는 등 직접적인 주가 부양에도 나서고 있다.
뉴욕=유창재/도쿄=서정환 특파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