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의 소득 수준과 비교할 때 집값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 추세 속에서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등 서울 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소득 대비 집값은 국내 평균의 2배를 넘었다.

8일 한국은행과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23.4로 집계됐다. PIR은 개인의 가처분소득과 비교해 주택 매매가격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보여주는 것으로, 관련 통계가 처음 집계된 1986년을 기준치 100으로 삼는다. 지난해 전국 주택의 PIR은 1986~2013년의 장기간 평균치(42.3)와 비교해 44.7% 낮다.

한국의 PIR 하락은 선진국 중에서도 두드러진 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 회원국 중 한국 주택 PIR의 장기 평균 대비 하락폭이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서울 지역 아파트의 PIR은 상대적으로 높다. 서울 한강 이남 11개구의 PIR은 지난해 47.5로 전국 주택 평균 PIR(23.4)의 두 배를 웃돌았다. 장기간 평균치(59.7)와 비교해도 하락폭이 20.5%에 불과하다. 전반적으로 자기자본으로 집을 살 여력이 커졌지만 서울 한강 이남의 아파트는 여전히 부모 도움이나 타인자본(차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타인자본은 주로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것인데,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받는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