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일자리, 세금 적은 州에 몰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추적 - WSJ, 지역별 분석
앨라배마 '활력'…뉴욕은 감원 계속
공급경제학 창시자 래퍼
"세율 낮은 곳으로 미국 인구 大이동"
앨라배마 '활력'…뉴욕은 감원 계속
공급경제학 창시자 래퍼
"세율 낮은 곳으로 미국 인구 大이동"
미국에선 지난 4년간 65만개의 제조업 일자리가 생겼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제조업 르네상스’라고 공언할 정도다.
하지만 주(州)별로는 편차가 극심하다. 텍사스와 앨라배마주는 일자리가 늘어 경기 회복을 체감하고 있지만 뉴욕주 등에선 감원 공포가 여전하다. ‘승패’를 가른 결정적 차이는 각주의 세금 부담과 노조 가입률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미국 50개 주의 카운티별 제조업 일자리 수를 집계한 데 따르면 조사 대상 2737개 카운티(미 전체는 3143개) 가운데 62%인 1695개에선 일자리가 순증했지만 38%(1029개 카운티)에선 감소했다.
WSJ는 자동차산업 회복과 셰일가스 붐 등이 지역별 편차를 불러오기도 했지만 공통적으론 세율이 낮고 노조 가입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WSJ는 앨라배마주 모빌카운티와 뉴욕주 오논다가카운티의 엇갈린 성적이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인구 41만명의 모빌카운티는 금융위기 직후 해운과 석유화학 분야에서 일자리를 많이 잃었지만 2009년 이후 4421개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졌다.
호주 기업 오스탈조선소의 투자가 결정적이었다. 오스탈조선소 대변인은 “미국 북동해안과 서부해안, 5대호 부근, 멕시코만 등 여러 후보지를 검토하다가 입지 여건이 좋고 세율과 노조 가입률이 낮은 모빌카운티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미국 공장이 있는 앨라배마주의 1인당 평균 세금 부담률(법인세 개인소득세 등 포함)은 소득의 8.3%로 미국 평균(9.8%)보다 낮다. 노조 가입률도 10.7%로 미국 평균인 11.3%를 밑돈다. 기업 몰리는 텍사스, 인구 20% 급증
노조 가입률 높은 뉴욕엔 투자 기피
앨라배마주 모빌 카운티와 달리 인구 46만명인 뉴욕주 오논다가 카운티는 지난 4년간 제조업 일자리가 17%(3735개) 감소했다. 캐나다 자동차부품업체 마그나가 강성노조와 고임금에 못 이겨 2009년부터 공장 규모를 줄이다가 2012년 완전히 문을 닫은 게 가장 큰 이유다. 뉴욕주는 세부담률이 12.8%로 미국에서 가장 높다. 노조가입률도 24%로 미국 최고 수준이다. 2009년에 13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식기제조업체 시라큐스차이나가 문을 닫고 록히드마틴의 전자부품 공장이 2300명을 감원한 이후 아직 이렇다 할 신규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뉴욕주는 지난 3월 뒤늦게 제조업체에 대한 법인세 면제 조치를 취하면서 기업 유치에 나섰다.
마크 무로 브루킹스연구소 도시정책센터장은 “제조업은 포장, 운송, 서비스 산업 등 일자리 파급 효과가 큰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며 “제조업의 지역별 불균형은 전체 경제에 주름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율은 각 주의 인구증가율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경 제학의 창시자이자 ‘래퍼 곡선’으로 유명한 아서 래퍼 전 시카고대 교수(현 래퍼어소시에이츠 회장)는 최근 워싱턴DC에서 열린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 주최 세미나에서 “미국인들이 세율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옮겨가는 ‘인구 대이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2~2012년 사이 인구증가율 1위인 네바다주(26.9%)를 비롯해 텍사스(20.1%) 플로리다(15.7%) 등은 주정부의 1인당 세부담률이 소득 대비 7~9% 수준이다. 반면 인구증가율이 2.3%에 그친 뉴욕주를 비롯해 뉴저지(2.6%) 코네티컷(3.8%) 등의 세부담률은 12%를 웃돈다.
미국의 기업과 개인들은 연방정부 세금 외에 각 주정부의 세금을 별도로 내야 하며 주정부마다 세율이 다르다. 초당파 싱크탱크인 ‘세금재단’에 따르면 주정부의 1인당 세부담률은 7~12.8%의 편차를 보이고 있다. 텍사스 플로리다 테네시 네바다 등 9개 주는 개인소득세가 아예 없다. 이들 9개 주 가운데 8개가 10년간 인구증가율 25위권 안에 들었다. 래퍼 교수는 “미국인의 절반이 고향을 떠나 다른 주에서 살고 있다”며 “나도 퇴직 후 세율이 낮은 테네시주 내슈빌로 이사 갔다”고 말했다. 그는 “낮은 세율이 복지서비스의 부실을 뜻하지 않는다”며 “세율이 높은 주는 공공기관 직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줄 뿐 공공서비스 개선과는 무관하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하지만 주(州)별로는 편차가 극심하다. 텍사스와 앨라배마주는 일자리가 늘어 경기 회복을 체감하고 있지만 뉴욕주 등에선 감원 공포가 여전하다. ‘승패’를 가른 결정적 차이는 각주의 세금 부담과 노조 가입률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미국 50개 주의 카운티별 제조업 일자리 수를 집계한 데 따르면 조사 대상 2737개 카운티(미 전체는 3143개) 가운데 62%인 1695개에선 일자리가 순증했지만 38%(1029개 카운티)에선 감소했다.
WSJ는 자동차산업 회복과 셰일가스 붐 등이 지역별 편차를 불러오기도 했지만 공통적으론 세율이 낮고 노조 가입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WSJ는 앨라배마주 모빌카운티와 뉴욕주 오논다가카운티의 엇갈린 성적이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인구 41만명의 모빌카운티는 금융위기 직후 해운과 석유화학 분야에서 일자리를 많이 잃었지만 2009년 이후 4421개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졌다.
호주 기업 오스탈조선소의 투자가 결정적이었다. 오스탈조선소 대변인은 “미국 북동해안과 서부해안, 5대호 부근, 멕시코만 등 여러 후보지를 검토하다가 입지 여건이 좋고 세율과 노조 가입률이 낮은 모빌카운티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미국 공장이 있는 앨라배마주의 1인당 평균 세금 부담률(법인세 개인소득세 등 포함)은 소득의 8.3%로 미국 평균(9.8%)보다 낮다. 노조 가입률도 10.7%로 미국 평균인 11.3%를 밑돈다. 기업 몰리는 텍사스, 인구 20% 급증
노조 가입률 높은 뉴욕엔 투자 기피
앨라배마주 모빌 카운티와 달리 인구 46만명인 뉴욕주 오논다가 카운티는 지난 4년간 제조업 일자리가 17%(3735개) 감소했다. 캐나다 자동차부품업체 마그나가 강성노조와 고임금에 못 이겨 2009년부터 공장 규모를 줄이다가 2012년 완전히 문을 닫은 게 가장 큰 이유다. 뉴욕주는 세부담률이 12.8%로 미국에서 가장 높다. 노조가입률도 24%로 미국 최고 수준이다. 2009년에 13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식기제조업체 시라큐스차이나가 문을 닫고 록히드마틴의 전자부품 공장이 2300명을 감원한 이후 아직 이렇다 할 신규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뉴욕주는 지난 3월 뒤늦게 제조업체에 대한 법인세 면제 조치를 취하면서 기업 유치에 나섰다.
마크 무로 브루킹스연구소 도시정책센터장은 “제조업은 포장, 운송, 서비스 산업 등 일자리 파급 효과가 큰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며 “제조업의 지역별 불균형은 전체 경제에 주름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율은 각 주의 인구증가율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경 제학의 창시자이자 ‘래퍼 곡선’으로 유명한 아서 래퍼 전 시카고대 교수(현 래퍼어소시에이츠 회장)는 최근 워싱턴DC에서 열린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 주최 세미나에서 “미국인들이 세율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옮겨가는 ‘인구 대이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2~2012년 사이 인구증가율 1위인 네바다주(26.9%)를 비롯해 텍사스(20.1%) 플로리다(15.7%) 등은 주정부의 1인당 세부담률이 소득 대비 7~9% 수준이다. 반면 인구증가율이 2.3%에 그친 뉴욕주를 비롯해 뉴저지(2.6%) 코네티컷(3.8%) 등의 세부담률은 12%를 웃돈다.
미국의 기업과 개인들은 연방정부 세금 외에 각 주정부의 세금을 별도로 내야 하며 주정부마다 세율이 다르다. 초당파 싱크탱크인 ‘세금재단’에 따르면 주정부의 1인당 세부담률은 7~12.8%의 편차를 보이고 있다. 텍사스 플로리다 테네시 네바다 등 9개 주는 개인소득세가 아예 없다. 이들 9개 주 가운데 8개가 10년간 인구증가율 25위권 안에 들었다. 래퍼 교수는 “미국인의 절반이 고향을 떠나 다른 주에서 살고 있다”며 “나도 퇴직 후 세율이 낮은 테네시주 내슈빌로 이사 갔다”고 말했다. 그는 “낮은 세율이 복지서비스의 부실을 뜻하지 않는다”며 “세율이 높은 주는 공공기관 직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줄 뿐 공공서비스 개선과는 무관하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