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출신이라도 고위직 임원 발탁"…인재의 삼성전자, 인사 불문율 깼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영현 부사장·박용인 전무
잇따라 주요 보직에 임명
잇따라 주요 보직에 임명
삼성전자가 경쟁사인 LG 출신을 연이어 고위 임원으로 발탁해 눈길을 끌고 있다. 예전엔 LG 출신을 좀체 임원급으로 중용하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선 이 같은 암묵적인 불문율조차 핵심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자취를 감췄다.
삼성전자가 지난 1일자로 단행한 삼성전자 DS(부품) 부문 인사에서 새로 메모리사업부장을 맡은 전영현 부사장은 옛 LG반도체 출신이다. KAIST에서 전기전자공학 박사를 딴 뒤 1991년 LG반도체에 입사, 1999년까지 9년간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1999년 LG반도체가 현대반도체(현 SK하이닉스)에 흡수합병된 직후인 2000년 삼성으로 이직했다.
올 들어 시스템LSI사업부 차세대제품개발팀장을 맡은 박용인 전무도 직전 직함은 동부하이텍 대표이사지만, 실은 LG반도체 출신이다. 박 전무는 연세대를 나와 LG반도체에서 1987~1999년 일했다. 이후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를 거쳐 동부하이텍 부사장과 대표이사를 지냈다.
지난 5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VD) 부사장으로 영입된 이원진 구글코리아 사장 역시 LG전자 출신이다. 이 부사장은 미국 퍼듀대에서 석사학위를 딴 뒤 LG전자 연구원으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한국액센츄어와 한국어도비를 거쳐 구글코리아 대표로 일했고, 이후 구글 본사 부사장으로 승진해 아시아·태평양지역 고객사와 광고대행사 관리를 총괄해왔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LG 출신이라서 뽑은 게 아니라 핵심인재여서 영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2000년대 말 이건희 회장이 “한 명의 천재가 10만명을 먹여 살린다”며 인재경영을 본격화한 뒤 핵심 인재를 꾸준히 임원급으로 영입해왔다. 그렇지만 LG 출신은 많지 않았다.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라 동종 업계에서의 인력 스카우트가 쉽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양사 임직원들의 머릿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쟁의식도 걸림돌이었다. 여기다 기업문화가 달라 입사 후 적응하지 못한 사례도 일부 있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삼성전자가 지난 1일자로 단행한 삼성전자 DS(부품) 부문 인사에서 새로 메모리사업부장을 맡은 전영현 부사장은 옛 LG반도체 출신이다. KAIST에서 전기전자공학 박사를 딴 뒤 1991년 LG반도체에 입사, 1999년까지 9년간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1999년 LG반도체가 현대반도체(현 SK하이닉스)에 흡수합병된 직후인 2000년 삼성으로 이직했다.
올 들어 시스템LSI사업부 차세대제품개발팀장을 맡은 박용인 전무도 직전 직함은 동부하이텍 대표이사지만, 실은 LG반도체 출신이다. 박 전무는 연세대를 나와 LG반도체에서 1987~1999년 일했다. 이후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를 거쳐 동부하이텍 부사장과 대표이사를 지냈다.
지난 5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VD) 부사장으로 영입된 이원진 구글코리아 사장 역시 LG전자 출신이다. 이 부사장은 미국 퍼듀대에서 석사학위를 딴 뒤 LG전자 연구원으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한국액센츄어와 한국어도비를 거쳐 구글코리아 대표로 일했고, 이후 구글 본사 부사장으로 승진해 아시아·태평양지역 고객사와 광고대행사 관리를 총괄해왔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LG 출신이라서 뽑은 게 아니라 핵심인재여서 영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2000년대 말 이건희 회장이 “한 명의 천재가 10만명을 먹여 살린다”며 인재경영을 본격화한 뒤 핵심 인재를 꾸준히 임원급으로 영입해왔다. 그렇지만 LG 출신은 많지 않았다.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라 동종 업계에서의 인력 스카우트가 쉽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양사 임직원들의 머릿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쟁의식도 걸림돌이었다. 여기다 기업문화가 달라 입사 후 적응하지 못한 사례도 일부 있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