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도 통역 없어 멀뚱멀뚱… 병원동행 서비스 강화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결혼이민여성들의 건강 문제는 사회문화 정책과 함께 다뤄져야 한다. 단순히 보건정책으로만 해결될 수 없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적극적 홍보와 병원상담동행 서비스가 필요하다.”
16일 서울 청파동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7회 세계인의 날 기념 이민정책 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선 조주은 국회입법처 박사는 이 같이 주장했다.
조 박사는 “많은 결혼이민여성들이 한국사회 적응과 의료기관 이용이 힘든 이유로 언어 문제를 꼽았다” 며 “전국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적극 지원과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병원상담동행서비스 강화를 통해 의사소통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에게 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해 현재 전국에 214개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센터의 설립 취지와 운영에 거리가 있다는 게 현장의 지적이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조금준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는 자신의 사례를 들어 결혼이민여성들의 보건의료 실상을 전했다.
그는 “근무하고 있는 병원 위치 특성상 이민자 환자가 많다. 20대 결혼이민여성과 70대 시어머니가 함께 오는 경우가 많은데, 말이 통하지 않아 멀뚱멀뚱 앉아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역을 데리고 온 환자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정책적인 지원과 현장의 괴리감이 큰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상민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포용성’을 전제로 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주민들이 출신국에서 경험한 사회와 문화를 존중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국내 이주민들은 한국과 다른 사회·문화·정치적 환경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보건의료체계나 질병의 양상이 많이 다르다”며 “사회, 직업, 교육지원 체계와 연계한 포괄적인 통합 의료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다양한 이주민 지원이 모두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진단이다.
이민자들에게 예방 차원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의철 상지대 언론광고학부 부교수는 “아픈 사람을 낫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처음부터 아프지 않게 돕는 일도 중요하다”며 “상담서비스, 비용지원, 정보제공 등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이민자들의 질병 예방을 위한 의료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포럼은 법무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와 숙명여대 다문화통합연구소, IOM이민정책연구원, 한국다문화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KDB대우증권이 후원했다.
한경닷컴 박희진 기자 hotimpact@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6일 서울 청파동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7회 세계인의 날 기념 이민정책 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선 조주은 국회입법처 박사는 이 같이 주장했다.
조 박사는 “많은 결혼이민여성들이 한국사회 적응과 의료기관 이용이 힘든 이유로 언어 문제를 꼽았다” 며 “전국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적극 지원과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병원상담동행서비스 강화를 통해 의사소통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에게 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해 현재 전국에 214개가 운영 중이다. 하지만 센터의 설립 취지와 운영에 거리가 있다는 게 현장의 지적이다.
이어 발표자로 나선 조금준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는 자신의 사례를 들어 결혼이민여성들의 보건의료 실상을 전했다.
그는 “근무하고 있는 병원 위치 특성상 이민자 환자가 많다. 20대 결혼이민여성과 70대 시어머니가 함께 오는 경우가 많은데, 말이 통하지 않아 멀뚱멀뚱 앉아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역을 데리고 온 환자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정책적인 지원과 현장의 괴리감이 큰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상민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포용성’을 전제로 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주민들이 출신국에서 경험한 사회와 문화를 존중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국내 이주민들은 한국과 다른 사회·문화·정치적 환경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보건의료체계나 질병의 양상이 많이 다르다”며 “사회, 직업, 교육지원 체계와 연계한 포괄적인 통합 의료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다양한 이주민 지원이 모두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진단이다.
이민자들에게 예방 차원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의철 상지대 언론광고학부 부교수는 “아픈 사람을 낫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처음부터 아프지 않게 돕는 일도 중요하다”며 “상담서비스, 비용지원, 정보제공 등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이민자들의 질병 예방을 위한 의료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포럼은 법무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와 숙명여대 다문화통합연구소, IOM이민정책연구원, 한국다문화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KDB대우증권이 후원했다.
한경닷컴 박희진 기자 hotimpact@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