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정부서울청사 1층에 있는 중앙재난안
전대책본부 출입문은 언론 등 외부인 출입을 전면 차단한 채 굳게 닫혀 있었다. 중대본 사무실을 오가는 안전행정부 관계자들은 상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했다. 1층 복도에서 만난 한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우리가 무슨 말을 하겠느냐”며 입을 다물었다. 이날 중대본 고위 관계자들의 휴대폰은 대부분 통화가 되지 않았다.

안행부가 주축이 된 중대본은 지난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실종자 숫자 발표부터 혼선을 빚었다. 사고 첫날 열린 여섯 차례의 브리핑에서 이경옥 안행부 2차관은 상황 파악조차 제대로 못한 채 ‘확인하겠다’는 얘기만 수십 차례 되풀이했다. 다음날 오전 합동브리핑에 나선 강병규 안행부 장관은 기자들의 질문조차 받지 않고 퇴장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구조 현황 등에 대해선 장관이 일일이 알 수 없어 실무자들이 답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중대본은 지난 18일엔 오전 11시께 “선체 진입에 성공해 3층 식당까지 진입 통로를 확보했다”고 발표했다가 서해해양경찰청이 이를 부인하자 네 시간 후 ‘선체 진입 실패’로 말을 바꿨다. 이후 중대본은 브리핑 창구를 해경으로 단일화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중대본이 실수를 남발하자 컨트롤타워 역할은 정홍원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로 넘어갔다.

안행부 관계자들은 “수많은 정부 부처와 민간인들까지 구조 과정에 참여하다 보니 정보가 중복되고 잘못된 정보가 많아졌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부처 간 협업을 토대로 정부의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 중대본이다. 그럼에도 중대본이 한 일이라고는 각 기관에서 보고한 자료를 취합해 언론에 발표하는 역할에 그쳤다는 게 내부 평가다. 공식 발표마저도 틀려 혼란을 키웠다. 실상을 들은 정부 고위 관계자조차 “피가 거꾸로 솟았다. 가족들 분노가 이해가 간다”고 말할 정도였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3월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며 행정안전부에서 안전행정부로 부처 이름을 바꿨다. 그로부터 1년여 만에 발생한 이번 사고에서 정부가 보여준 모습은 ‘탁상행정과 무능’의 전형이었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