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불과 3년 전만해도 우리나라 파생상품시장은 세계 1위였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규제 속에 지난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습니다.



투기를 차단하겠다는 취지였지만,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투자마저 옭아매는 역효과를 불러일으켰다는 지적입니다.



조연 기잡니다.



<기자>

지난 1996년 개설된 한국 파생상품시장.



파생상품의 본고장인 미국보다 시작은 100여년 늦었지만, 고속성장을 거듭하며 10년만에 거래량 기준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고공행진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2010년 도이치증권의 `옵션 쇼크`와 2011년 주식워런트증권(ELW) 불공정거래 사건이 터지면서 정부 당국은 파생시장 다잡기에 나섰고, 이후 한국 파생시장은 2012년 세계 5위, 2013년 11위로 뒷걸음질쳤습니다.



코스피200 옵션 거래승수 인상, ELW 유동성 공급자 호가 범위 제한, 파생상품 거래세 부과 등의 규제가 한꺼번에 쏟아지며 일부 시장은 존폐를 걱정해야 할 정도입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가 투자자들의 참여를 지나치게 억제하고 있다고 꼬집습니다.



<인터뷰> 푸�더 길 CME사장

"(한국의 경우) 규제, 증거금, 위험관리 우려, 승수인상 등이 영향인 것 같다. 결국은 위험관리 문제인데 한국 정부는 과도한 투기를 억제하고 적격기관투자자만 시장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것 같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파생이 투기목적의 상품으로 굳어졌는데 본래는 헤지(위험회피)목적"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파생시장을 키우는데 우리만 반대로 규제하고 있어 기관과 외국인 모두 한국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일본과 중국은 파생시장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그 결과 지난해 닛케이225상품과 CSI300선물은 각각 110% 이상 거래가 증가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규제의 고삐를 바짝 죄었고, 같은 기간 파생 거래량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이처럼 파생시장 활성화에 주력하는 이유는 파생시장이 현물시장의 변동성 헤지와 유동성 공급 역할을 해, 한 축이 무너지면 주식시장 전반적인 악순환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한때 세계가 주목했던 한국 파생상품시장, 이제 투자자 보호뿐 아니라 투자 권리도 지켜지고, 시장도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해법이 시급합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조연기자 ycho@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오상진 집 방송 최초 공개··"대기업 임원 집은 달라도 달라!"
ㆍ용문학원 김문희 이사장 `교비횡령` 수사··알고보니 김무성 의원 누나?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별에서 온 그대 15회 예고, 전지현-박해진 약혼하나? 김수현 폭풍 질투 어떡해
ㆍ"경기 완만한 회복세‥변동성은 확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