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하고 싶은 외국계 기업' 구글코리아, 3년 연속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캠퍼스 잡앤조이, 2014 랭킹 발표
구직자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은 외국계 기업은 구글코리아로 조사됐다. 대학생 전문 매거진 ‘캠퍼스 잡앤조이’는 20~30대 구직자 1876명(취업준비생 964명, 대학생 274명, 직장인 6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 입사하고 싶은 외국계 기업’ 조사결과를 2월3일자로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서 구글코리아는 50.7%(3개 기업 복수응답)의 응답률을 기록, 3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애플코리아(응답률 18.9%)와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응답률 16.2%)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애플코리아는 2012년 첫 조사에서 2위로 출발, 지난해 4위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2위로 복귀했다. 스티브 잡스의 사망, 삼성과의 특허 분쟁 등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구직자들의 ‘애플’ 선호도는 여전했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첫 조사와 두 번째 조사에서 줄곧 5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톱3에 이름을 올렸다. 또 BMW코리아, 유한킴벌리가 뒤를 이었으며 나이키스포츠, 루이비통코리아, 한국3M, 로레알코리아, 구찌그룹코리아도 ‘톱10’에 랭크됐다.
◆볼보그룹코리아·한국오라클 등 순위 급상승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순위 변동이 큰 폭으로 나타난 기업들이 있었다. 26위에 랭크된 볼보그룹코리아(응답률 2.6%)는 지난해 51위보다 25계단이나 상승하며 처음으로 톱30 진입에 성공했다. 또 한국오라클(응답률 2.1%)도 지난해 51위에서 21계단 순위가 오르며 30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11위, 12계단 상승), 아디다스코리아(14위, 12계단 상승), 한국지멘스(16위, 10계단 상승) 등도 큰 폭의 순위 상승을 보였다.
반면 한국P&G(14위, 8계단 하락), GE코리아(17위, 9계단 하락), IBM(20위, 11계단 하락) 등은 지난해 조사결과보다 낮은 응답률을 기록하며 순위가 떨어졌다.
◆남녀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
기업에 대한 남녀 응답률의 차이도 나타났다. 응답률 50.7%로 1위를 차지한 구글코리아의 경우 여성의 응답률은 53.3%였던 반면, 남성은 그보다 다소 낮은 46.7%를 기록했다. 여성들에게 22.6%의 지지를 받은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6.4%의 낮은 남성 응답률을 보였으며, 루이비통코리아 역시 여성 13.2%, 남성 4.1% 라는 응답률 온도차를 겪었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동차, 스포츠 브랜드를 선호하는 남성 응답자와 커피, 패션 브랜드를 선호하는 여성 응답자의 차이가 이번 조사의 결과로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외국계 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복지
응답자 1876명의 41.5%가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복지 제도’를 첫손에 꼽았다. 이는 지난해 41.9%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직자들의 외국계 기업 복지 기대치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 ‘서구식 기업 문화’(17.9%), ‘해외 근무 기회’(17.5%), ‘연봉’(14.6%), ‘기업 인지도’(7.9%) 등이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꼽혔으며 ‘적은 야근’, ‘특화된 업무 경험’, ‘미래 가치’등도 장점으로 언급됐다.
한편 응답자들은 외국계 기업 입사를 위해 필요한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 어학 능력을 들었다. 66.2%의 응답자가 선택한 ‘어학 능력’은 ‘관련 분야 직무 경험’(18.3%), ‘해외 생활 경험’(7.7%), ‘직무 관련 자격증’(2.8%), ‘전공 및 학점’(1.8%), ‘출신 학교’(0.4%) 등을 압도적으로 제쳤다. ‘도전 의식’, ‘열정’, ‘창의력’, ‘자신감’, ‘기업에 대한 관심’, ‘적응력’ 등이 외국계 기업 입사에 필요한 능력으로 꼽혔다.
◆외국계 기업 인사담당자 “원어민 수준 어학 필요없다”
구직자들은 어학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외국계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캠퍼스 잡앤조이가 톱30에 랭크된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외국어 수준’을 질문한 결과 ‘원어민 수준’이라 답한 곳은 단 한군데도 없었다. 설문에 응한 16개 사 가운데 13개 사는 ‘비즈니스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고, 3개 사는 ‘초급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다. 구직자들이 막연하게 생각하는 ‘어학 능력’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이밖에 공인 영어 성적, 외국어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중요하게 보는 역량 등에 대해서도 구직자와 인사담당자의 생각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2월 3일자 캠퍼스 잡앤조이 50호 커버스토리 참고)
박수진 한국경제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
이번 조사에서 구글코리아는 50.7%(3개 기업 복수응답)의 응답률을 기록, 3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애플코리아(응답률 18.9%)와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응답률 16.2%)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애플코리아는 2012년 첫 조사에서 2위로 출발, 지난해 4위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2위로 복귀했다. 스티브 잡스의 사망, 삼성과의 특허 분쟁 등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구직자들의 ‘애플’ 선호도는 여전했다.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첫 조사와 두 번째 조사에서 줄곧 5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톱3에 이름을 올렸다. 또 BMW코리아, 유한킴벌리가 뒤를 이었으며 나이키스포츠, 루이비통코리아, 한국3M, 로레알코리아, 구찌그룹코리아도 ‘톱10’에 랭크됐다.
◆볼보그룹코리아·한국오라클 등 순위 급상승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순위 변동이 큰 폭으로 나타난 기업들이 있었다. 26위에 랭크된 볼보그룹코리아(응답률 2.6%)는 지난해 51위보다 25계단이나 상승하며 처음으로 톱30 진입에 성공했다. 또 한국오라클(응답률 2.1%)도 지난해 51위에서 21계단 순위가 오르며 30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11위, 12계단 상승), 아디다스코리아(14위, 12계단 상승), 한국지멘스(16위, 10계단 상승) 등도 큰 폭의 순위 상승을 보였다.
반면 한국P&G(14위, 8계단 하락), GE코리아(17위, 9계단 하락), IBM(20위, 11계단 하락) 등은 지난해 조사결과보다 낮은 응답률을 기록하며 순위가 떨어졌다.
◆남녀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
기업에 대한 남녀 응답률의 차이도 나타났다. 응답률 50.7%로 1위를 차지한 구글코리아의 경우 여성의 응답률은 53.3%였던 반면, 남성은 그보다 다소 낮은 46.7%를 기록했다. 여성들에게 22.6%의 지지를 받은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6.4%의 낮은 남성 응답률을 보였으며, 루이비통코리아 역시 여성 13.2%, 남성 4.1% 라는 응답률 온도차를 겪었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동차, 스포츠 브랜드를 선호하는 남성 응답자와 커피, 패션 브랜드를 선호하는 여성 응답자의 차이가 이번 조사의 결과로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외국계 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복지
응답자 1876명의 41.5%가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복지 제도’를 첫손에 꼽았다. 이는 지난해 41.9%와 비슷한 수준으로, 구직자들의 외국계 기업 복지 기대치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 ‘서구식 기업 문화’(17.9%), ‘해외 근무 기회’(17.5%), ‘연봉’(14.6%), ‘기업 인지도’(7.9%) 등이 외국계 기업의 장점으로 꼽혔으며 ‘적은 야근’, ‘특화된 업무 경험’, ‘미래 가치’등도 장점으로 언급됐다.
한편 응답자들은 외국계 기업 입사를 위해 필요한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 어학 능력을 들었다. 66.2%의 응답자가 선택한 ‘어학 능력’은 ‘관련 분야 직무 경험’(18.3%), ‘해외 생활 경험’(7.7%), ‘직무 관련 자격증’(2.8%), ‘전공 및 학점’(1.8%), ‘출신 학교’(0.4%) 등을 압도적으로 제쳤다. ‘도전 의식’, ‘열정’, ‘창의력’, ‘자신감’, ‘기업에 대한 관심’, ‘적응력’ 등이 외국계 기업 입사에 필요한 능력으로 꼽혔다.
◆외국계 기업 인사담당자 “원어민 수준 어학 필요없다”
구직자들은 어학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외국계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캠퍼스 잡앤조이가 톱30에 랭크된 외국계 기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외국어 수준’을 질문한 결과 ‘원어민 수준’이라 답한 곳은 단 한군데도 없었다. 설문에 응한 16개 사 가운데 13개 사는 ‘비즈니스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고, 3개 사는 ‘초급 회화 수준’이라고 답했다. 구직자들이 막연하게 생각하는 ‘어학 능력’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셈이다.
이밖에 공인 영어 성적, 외국어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중요하게 보는 역량 등에 대해서도 구직자와 인사담당자의 생각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2월 3일자 캠퍼스 잡앤조이 50호 커버스토리 참고)
박수진 한국경제매거진 기자 sj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