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지출 = 1 > 1+1’이라는 등식을 제시하면 ‘비난’이 쏟아 질려나요? 하지만 산술적으로 결코 성립할 수 없는 이 등식이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틀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바로 1인가구와 2인가구의 소비 지출 규모를 비교했을 때 그렇다는 얘긴데요.

시간을 돌려 20년여 전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이 때 미국 헐리우드 영화 ‘나 홀로 집에’가 선보였습니다. 최근 연인과의 이별, 약물중독으로 인해 ‘초라한’ 모습이 공개된 맥컬리 컬킨이 주연을 맡았고 속편도 여러 개 나와 비교적 눈에 익은 영화로 불립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 영화가 개봉됐을 당시인 1990년 제목 ‘나홀로 집에’와 동의어 격인 국내 1인가구주의 숫자는 전국적으로 17만4000명 수준 (9.0%)이었다고 합니다.국내 1인 가구수는 이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 20년이 지난 2010년, 무려 126만7000명에 달했다는 집계고요.

20년 전과 비교했을 때 7.3배 증가한 것입니다. 이 수치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1734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3%라는 통계입니다. 쉽게 말해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나홀로 집에’라는 표현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아래는 외국과 한국의 1인 가구수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그래프입니다.[각 국별 1인가구 비중, 자료출처=LG경제연구원]

이게 가능해? "소비지출=1인가구 > 2인가구"
우리나라 1인가구의 엄청난 증가폭을 단적으로 설명하는 건 영화 ‘나홀로 집에’가 개봉된 이후 등장한 각종 ‘속어’에서 짐작 가능합니다. 예컨대 이혼 후 혼자 사는 남자 또는 여자를 말하는 ‘돌싱 (돌아온 싱글)’이 대표적입니다.

또 배우자와 사별 후 홀로 된 노인을 설명하는 ‘D.K.N.I.(독거노인)', 고스펙 전문직을 갖고 결혼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여성을 말하는 ‘골드미스’ ,가족을 해외에 보내고 외로이 살아가는 ‘기러기아빠’ 등등이 꼽힙니다.

국내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1인가구는 막을 수 없는 대세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통계청 전망에 따르면 전체에서 이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엔 29.6%, 2030년엔 32.7%로 뛸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이같은 대한민국 1인가구의 증가는 사실 인구적인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상식입니다. 결혼을 않거나 늦추고 자녀를 낳지 않는 풍토 등이 그렇습니다. 이는 합계출산율을 결정적으로 낮추는 요인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이 게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닌 듯 합니다. 맨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1인 가구가 특이한 등식 (소비지출 = 1>1+1)을 성립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나홀로 집에’로 대표되는 1인가구가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2인가구 보다 ‘소비 지출이 더 많다’는 이색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고가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형도를 바꾼다’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는데요. 그는 “주거 또는 내구재 처럼 같이 쓸 수 있는 것을 1인 가구의 경우 홀로 소비해야 하기 때문에 1인가구가 소비를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구 구성원의 연령, 소득 차이 등을 제거하고 보았을 때 1인 가구의 소비는 2인 가구의 1인당 소비 보다 8%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고 연구원의 분석입니다.

고가영 선임연구원은 2인가구와 비교해 1인가구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소비 특징을 지닌다고 소개했습니다. “소비지출= 1인가구 > 2인가구” 등식이 성립하는 근거인 셈입니다.

①주거비는 1인 가구의 소비지출이 가장 큰 품목 중 하나이다. 1인 가구의 주거비 지출은 월평균 20만원으로 2인 가구의 13만원 (1인당) 보다 크게 높다.
②주류 및 담배도 1인 가구 소비가 상당히 큰 품목이다. 남성 1인 가구의 주류 및 담배 소비는 2인 가구의 부부 합산 소비보다도 크다.
③1인 가구화에 따른 외식비 증가는 27%, 가공식품 소비 증가는 51%에 달했는데 특히 남성 독신 가구에서 소비 증가가 가장 크다.
④의류 및 이미용 소비도 1인 가구에서 10% 가량 많았는데 30대 이하 독신 여성 가구의 소비가 가장 컸다.
⑤독신 가구는 사회적 고립을 피하기 위해 통신비 및 교제비 지출을 더 많이 한다.
⑥1인 가구화로 운동 및 문화서비스 소비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고령 1인 가구의 여가 소비는 오히려 줄어든다.
⑦1인 가구의 여행비 지출은 2인 가구보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다 (-24%). 이는 남성 1인 가구의 여행비 지출이 여성 1인 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령 1인 가구의 여행비 지출도 매우 낮았다.
⑧가전제품은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1인가구의 소비지출 부담이 컸다. 품목별로는 PC 소비 증가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백색가전, TV 순으로 나타났다.
⑨의료 건강 부문의 경우 1인 가구의 소비가 더 적었다. 의약품 소비는 1인 가구가 더 많았지만 병원 서비스 이용이 30~4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더 낮았기 때문이다.
⑩내구재 중에서도 승용차 및 가구 등 부피가 크고 고가인 품목은 1인 가구화에 따라 소비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영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인구 고령화가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지만 1인 가구 증가가 이를 상쇄해 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국내에서는 2020년까지는 고령화에 따른 소비 감소 효과가 -1.6%이지만 1인 가구화 및 가구원수 감소의 소비 증가 효과는 3.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고 선임연구원의 해석입니다.

그는 1인 가구가 주요 가구형태가 됨에 따라 기업 뿐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1인 가구화가 가져올 소비시장의 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경닷컴 뉴스국 윤진식 편집위원 jsy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