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을 획기적으로 육성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자는 목표로 2011년부터 본격 추진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그동안 지지부진한 진행 속도를 보였다. 크고 작은 현안마다 지역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사실상 표류하고 있던 과학벨트 구축이 다시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은 지난 7월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가 양해각서(MOU)를 맺으면서부터다. 정부는 중이온가속기 부지 매입비를 부담하고, 대전시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엑스포과학공원에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 부지를 제공하기로 하면서 엉켰던 실타래가 풀리기 시작했다.

○정부와 지자체 긴밀 협력…과학벨트 성공 열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연구자, 연구기관을 유치해 세계적인 기초연구를 선도할 중심 거점을 만들고자 계획된 국가 사업이다. 정부는 향후 과학벨트를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굵직한 사업에 대해 다소 논란은 있었지만 과학벨트의 추진 필요성 및 실효성에 대해서는 정부, 학계 할 것 없이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분위기다. 결국 이 모든 논란과 잡음은 과학벨트의 성공 조성을 위한 전초전인 셈이다.

또한 기초과학을 기반으로 인력 양성, 산업 기반 확충 등이 복합된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고자 하는 특수성 짙은 정책사업이기 때문에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효과적인 지원 정책이 맞물려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기초과학 연구자 아끼는 풍토 중요

기초과학 특성상 연구성과 및 사업화에 대한 단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기초과학의 성과는 수많은 실패를 거듭한 끝에 나올 수 있는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압박이나 과정에 대한 채근 없이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응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과학계는 입을 모은다.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도 시급하다. 지난해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과학 인재 200명을 조사한 결과 이공계 진학률이 28%에 그쳐 2008년에 비해 절반에도 못 미쳤다. 과학자에 대한 처우가 부족하고 연구환경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보니 인재들이 과학 분야에서 미래에 대한 비전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이공계 인재들이 과학 외의 다른 길을 선택하게 되면 이는 고스란히 과학계에 부담으로 남는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단순한 과학산업단지를 넘어 이들을 위한 연구환경과 인프라, 편의시설이 갖춰진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의 업무협약 체결, 과학벨트 기본계획 변경 등을 통해 이 같은 비전이 구체화됐다.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올라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기 위해선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간 연계 강화 및 긴밀한 협력 또한 필수적인 과제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