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AA급인데…지방채는 "울고싶어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관들 부채비율 높은 공기업 투자 꺼려
지방선거 때 이슈 터지면 투자이유 보고서 쓰기 부담
인천도시公·강원도개발公, 3년물 등 금리 지속 상승
지방선거 때 이슈 터지면 투자이유 보고서 쓰기 부담
인천도시公·강원도개발公, 3년물 등 금리 지속 상승
▶마켓인사이트 11월5일 오후 3시49분
우량 신용등급 회사채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공기업은 이자비용 상승에 신음하고 있다. 지방공
기업 재무건전성 논란이 내년 6월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커질 것을 의식한 기관투자가들이 일찌감치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서다. 신용위험과 수익률에 초점을 맞춰야 할 기관이 이슈가 불거졌을 때 관련 보고서를 써야 하는 등 실무적 이유로 지나치게 몸을 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등급보다 낮은 대우
채권평가사들은 지난 4일 강원도개발공사와 인천도시공사의 3년 만기 공사채 시가평가금리(이하 민평금리)를 각각 연 3.60%와 연 3.68%로 평가했다. ‘국고채 금리와의 차이’(신용스프레드)는 0.74%포인트와 0.82%포인트로 2개월 전과 비교해 각각 0.22%포인트와 0.09%포인트 확대됐다.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됐다는 것은 투자자가 해당 채권을 보유하는 위험의 대가로 전보다 더 많은 이자를 요구한다는 뜻이다.
신용평가사들은 지방공기업을 평가할 때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가능성을 높게 반영해 대부분 AA급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와 강원도개발공사는 같은 신용등급(AA+)을 받고 있는 롯데쇼핑보다 0.4%포인트 이상 이자를 쳐주지 않으면 투자자를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지자체 보증 가능성을 등에 업고도 신용등급이 3단계 아래인 A+ 회사채(민평금리 연 3.57%)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신용등급이 ‘AA0’로 한 단계 낮은 용인도시공사와 평택도시공사도 국고채 금리와의 격차가 1.0%포인트 정도로 벌어져 있다.
◆“이슈 보고서 쓰느니…”
투자자들이 일부 지방공기업을 외면하는 이유는 악화된 재무건전성 때문이다. 이경록 NH농협증권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무리한 개발사업을 추진한 탓”이라며 “결국엔 지자체가 유동성 위기 진화에 나서겠지만 최악의 상황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심리가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인천도시공사와 강원도개발공사는 모두 부채비율이 300%를 웃돌고 있다.
실질적인 위험보다는 실무적인 부담이 투자를 가로막고 있다는 평가도 많다. 한 금융회사 회사채 심사 담당자는 “실무적으로 관련 이슈가 터졌을 때 상세한 보고서를 써야 하는 부담 또한 무시할 수 없다”며 “지방공기업이 파산할 가능성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지만, 사업을 크게 벌여놓은 기업들을 둘러싼 논란은 지방 선거 때까지 계속해서 이슈가 될 것”이라고 털어놨다. 한 증권사 채권상품 판매 담당자는 “동양 사태 이후 뭐든 논란이 될 만한 채권엔 투자를 피하려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며 “신용위험과 수익률 계산보다 실무적 편의를 우선순위에 두는 분위기는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수채 지위 회복해 노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지방공기업들은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원도개발공사는 지난 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안심하고 채권에 투자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문순 강원지사가 직접 참석해 행정적인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강원도는 다른 지방공기업들과 힘을 합쳐 특수채 지위 회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2009년 자본시장법 발효 뒤 거래소에서 지방공사채를 회사채로 분류하면서 발행 절차나 비용이 전보다 불리해졌기 때문이다. IR에 참석한 김정삼 강원도 행정부지사는 “다른 지자체와 연대해 특수채 지위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우량 신용등급 회사채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공기업은 이자비용 상승에 신음하고 있다. 지방공
기업 재무건전성 논란이 내년 6월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커질 것을 의식한 기관투자가들이 일찌감치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서다. 신용위험과 수익률에 초점을 맞춰야 할 기관이 이슈가 불거졌을 때 관련 보고서를 써야 하는 등 실무적 이유로 지나치게 몸을 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등급보다 낮은 대우
채권평가사들은 지난 4일 강원도개발공사와 인천도시공사의 3년 만기 공사채 시가평가금리(이하 민평금리)를 각각 연 3.60%와 연 3.68%로 평가했다. ‘국고채 금리와의 차이’(신용스프레드)는 0.74%포인트와 0.82%포인트로 2개월 전과 비교해 각각 0.22%포인트와 0.09%포인트 확대됐다.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됐다는 것은 투자자가 해당 채권을 보유하는 위험의 대가로 전보다 더 많은 이자를 요구한다는 뜻이다.
신용평가사들은 지방공기업을 평가할 때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가능성을 높게 반영해 대부분 AA급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와 강원도개발공사는 같은 신용등급(AA+)을 받고 있는 롯데쇼핑보다 0.4%포인트 이상 이자를 쳐주지 않으면 투자자를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지자체 보증 가능성을 등에 업고도 신용등급이 3단계 아래인 A+ 회사채(민평금리 연 3.57%)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신용등급이 ‘AA0’로 한 단계 낮은 용인도시공사와 평택도시공사도 국고채 금리와의 격차가 1.0%포인트 정도로 벌어져 있다.
◆“이슈 보고서 쓰느니…”
투자자들이 일부 지방공기업을 외면하는 이유는 악화된 재무건전성 때문이다. 이경록 NH농협증권 크레디트 애널리스트는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무리한 개발사업을 추진한 탓”이라며 “결국엔 지자체가 유동성 위기 진화에 나서겠지만 최악의 상황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심리가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인천도시공사와 강원도개발공사는 모두 부채비율이 300%를 웃돌고 있다.
실질적인 위험보다는 실무적인 부담이 투자를 가로막고 있다는 평가도 많다. 한 금융회사 회사채 심사 담당자는 “실무적으로 관련 이슈가 터졌을 때 상세한 보고서를 써야 하는 부담 또한 무시할 수 없다”며 “지방공기업이 파산할 가능성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지만, 사업을 크게 벌여놓은 기업들을 둘러싼 논란은 지방 선거 때까지 계속해서 이슈가 될 것”이라고 털어놨다. 한 증권사 채권상품 판매 담당자는 “동양 사태 이후 뭐든 논란이 될 만한 채권엔 투자를 피하려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며 “신용위험과 수익률 계산보다 실무적 편의를 우선순위에 두는 분위기는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수채 지위 회복해 노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지방공기업들은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원도개발공사는 지난 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안심하고 채권에 투자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문순 강원지사가 직접 참석해 행정적인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강원도는 다른 지방공기업들과 힘을 합쳐 특수채 지위 회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2009년 자본시장법 발효 뒤 거래소에서 지방공사채를 회사채로 분류하면서 발행 절차나 비용이 전보다 불리해졌기 때문이다. IR에 참석한 김정삼 강원도 행정부지사는 “다른 지자체와 연대해 특수채 지위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