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공격 대응인력 대폭 강화…변호사 채용해 정보보호 연구 주력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기주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지난 6월 변호사 두 명을 직접 뽑아 인터넷과 정보보호 관련 법제도 연구를 맡겼습니다. 변호사 채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상 최초입니다.”
이기주 한국인터넷진흥원장(사진)은 9일 서울 가락동 본원 대동청사에서 진행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1일 조직개편을 통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이버공격 대응 능력을 대폭 강화했을 뿐 아니라 법제연구·국제협력 강화 등 향후 꼭 필요한 분야의 체계를 정비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기관은 2실 2본부 1센터 10단 46팀으로 이뤄진 조직을 5본부 11단 47팀으로 개편했다. 기존에 ‘실’과 ‘본부’ ‘센터’ 등으로 나뉘었던 운영 조직을 ‘본부’로 통일해 혼란을 없애고,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 침해사고분석단을 신설했다.
이 원장은 “지난해 취임한 뒤 11개월간 운영하며 3·20 사이버테러 등 실제 사이버공격을 겪어 보니 공격에 대처만 할 것이 아니라 ‘분석’도 빠르게 진행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며 침해사고분석단 신설 이유를 밝혔다. 이 조직은 악성코드를 채집하고 연관성·패턴 분석 등을 통해 이미 일어난 사이버공격을 분석, 원인을 규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는 “64명에서 100명으로 침해사고 대응인력을 36명 증원했는데 이 중 30명을 신설된 침해사고분석단에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기존 정보보호본부에 속했던 공공정보보호단도 인프라보호단으로 개칭해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 편제했다. 이 원장은 “인프라보호단은 정부나 공공기관의 보안 취약점을 평가하고 사전 대책을 세우는 곳”이라며 “결국 사이버보안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에 둬 상호연계성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사전 점검 기능을 갖춘 인프라보호단, 사이버공격 발생 시 대처하는 침해사고대응단, 분석을 통해 다음 피해 예방에 집중하는 침해사고분석단이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에 속하게 됨에 따라 효율성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 원장은 “각 분야가 다른 본부 산하로 떨어져 있을 때보다 훨씬 소통이 잘 될 것”이라며 “사이버공격의 ‘흐름’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도 연구를 위해서는 직접 지난 6월 두 명의 변호사를 채용했다. 8월에는 대한변호사협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정보공유·협업확대를 통해 법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 이 원장은 “지속적으로 변호사 등 이 분야 전문인력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기존의 인터넷 관련법 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위치기반서비스(LBS), 클라우드컴퓨팅 등 신규 인터넷 정책 수요에 부응하는 법제도도 연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변협 측에서도 정보기술(IT) 관련 법제 개선에 참여하고 싶어 하는 변호사가 많다고 전해왔다”며 “법조계에서는 새로운 분야에 속하는 IT 분야에서 경력을 쌓을 기회를 주고, 실제로 전문 인력을 통해 법제 개선에 기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경이 무의미한 사이버공격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 공조에도 적극 나선다. 이 원장은 “지난 6~8월 사이에 미국을 방문해 맥어피, 파이어아이 등 글로벌 보안기업과 미국·이스라엘 보안 책임자를 만나 협력체계를 논의했다”며 “올 하반기에는 독일 영국 등을 포함한 유럽 국가와 유럽연합(EU)과 직접 대화할 예정”이라고 했다. 사이버스페이스총회, 중남미 정보통신기술(ICT) 장관회의, ITU 전권회의 등 대규모 국제 행사 개최를 앞두고 국제협력실은 국제협력본부로 바꾸고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인터넷진흥원의 역사를 살펴보면 규제뿐 아니라 ‘진흥’ 기능도 맡고 있는데 그간 사이버공격·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만 부각된 측면이 있다”며 “인터넷 정보보호 분야의 산업 육성 기능도 강화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미국 연방정부의 거대한 보안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간 협력을 통해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각광받지 못하던 해외 유명 보안 전시회에도 꾸준히 참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진흥원은 사이버보안 전담인력 36명을 포함한 개인정보보호·인터넷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0여명의 정규직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규모 면에서는 최근 이뤄진 정규직 채용 가운데 최다 인원을 뽑는 것”이라며 “한국 인터넷의 발전을 위해 효율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한 만큼 우수한 인재가 대거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이기주 한국인터넷진흥원장(사진)은 9일 서울 가락동 본원 대동청사에서 진행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1일 조직개편을 통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이버공격 대응 능력을 대폭 강화했을 뿐 아니라 법제연구·국제협력 강화 등 향후 꼭 필요한 분야의 체계를 정비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기관은 2실 2본부 1센터 10단 46팀으로 이뤄진 조직을 5본부 11단 47팀으로 개편했다. 기존에 ‘실’과 ‘본부’ ‘센터’ 등으로 나뉘었던 운영 조직을 ‘본부’로 통일해 혼란을 없애고,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 침해사고분석단을 신설했다.
이 원장은 “지난해 취임한 뒤 11개월간 운영하며 3·20 사이버테러 등 실제 사이버공격을 겪어 보니 공격에 대처만 할 것이 아니라 ‘분석’도 빠르게 진행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며 침해사고분석단 신설 이유를 밝혔다. 이 조직은 악성코드를 채집하고 연관성·패턴 분석 등을 통해 이미 일어난 사이버공격을 분석, 원인을 규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는 “64명에서 100명으로 침해사고 대응인력을 36명 증원했는데 이 중 30명을 신설된 침해사고분석단에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기존 정보보호본부에 속했던 공공정보보호단도 인프라보호단으로 개칭해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 편제했다. 이 원장은 “인프라보호단은 정부나 공공기관의 보안 취약점을 평가하고 사전 대책을 세우는 곳”이라며 “결국 사이버보안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에 둬 상호연계성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사전 점검 기능을 갖춘 인프라보호단, 사이버공격 발생 시 대처하는 침해사고대응단, 분석을 통해 다음 피해 예방에 집중하는 침해사고분석단이 인터넷침해대응본부 내에 속하게 됨에 따라 효율성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 원장은 “각 분야가 다른 본부 산하로 떨어져 있을 때보다 훨씬 소통이 잘 될 것”이라며 “사이버공격의 ‘흐름’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인터넷·정보보호 법제도 연구를 위해서는 직접 지난 6월 두 명의 변호사를 채용했다. 8월에는 대한변호사협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정보공유·협업확대를 통해 법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 이 원장은 “지속적으로 변호사 등 이 분야 전문인력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기존의 인터넷 관련법 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위치기반서비스(LBS), 클라우드컴퓨팅 등 신규 인터넷 정책 수요에 부응하는 법제도도 연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변협 측에서도 정보기술(IT) 관련 법제 개선에 참여하고 싶어 하는 변호사가 많다고 전해왔다”며 “법조계에서는 새로운 분야에 속하는 IT 분야에서 경력을 쌓을 기회를 주고, 실제로 전문 인력을 통해 법제 개선에 기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경이 무의미한 사이버공격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 공조에도 적극 나선다. 이 원장은 “지난 6~8월 사이에 미국을 방문해 맥어피, 파이어아이 등 글로벌 보안기업과 미국·이스라엘 보안 책임자를 만나 협력체계를 논의했다”며 “올 하반기에는 독일 영국 등을 포함한 유럽 국가와 유럽연합(EU)과 직접 대화할 예정”이라고 했다. 사이버스페이스총회, 중남미 정보통신기술(ICT) 장관회의, ITU 전권회의 등 대규모 국제 행사 개최를 앞두고 국제협력실은 국제협력본부로 바꾸고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인터넷진흥원의 역사를 살펴보면 규제뿐 아니라 ‘진흥’ 기능도 맡고 있는데 그간 사이버공격·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만 부각된 측면이 있다”며 “인터넷 정보보호 분야의 산업 육성 기능도 강화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미국 연방정부의 거대한 보안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간 협력을 통해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각광받지 못하던 해외 유명 보안 전시회에도 꾸준히 참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진흥원은 사이버보안 전담인력 36명을 포함한 개인정보보호·인터넷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0여명의 정규직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규모 면에서는 최근 이뤄진 정규직 채용 가운데 최다 인원을 뽑는 것”이라며 “한국 인터넷의 발전을 위해 효율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한 만큼 우수한 인재가 대거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